오피니언 이달의 예술 - 문학

책임과 용서에 대한 아픈 우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기사 이미지

신형철
문학평론가·조선대 교수

새로 창간된 격월간 문학잡지 『릿터』(민음사) 8·9월호에는 김애란의 신작 단편소설 ‘노찬성과 에반’이 실려 있다. 2년 전 아버지를 교통사고로 잃고 할머니와 둘이 사는 주인공 소년의 이름은 노찬성이다. 암환자였던 아버지가 고의로 낸 사고로 의심받아 유족은 보험금을 못 받았다. 홀로 손자를 키우는 할머니는 가끔 “주여, 저를 용서하소서…”라고 말한다. 정작 찬성은 ‘용서’가 뭔지도 모르지만 독자는 짐작되는 바가 있어 스산해진다. 착한 사람들조차 나쁜 생각을 하게 만드는 세상에 대해서, 착한 그들이 끝내 버릴 수 없는 죄책감에 대해서.

김애란 ‘노찬성과 에반’

어느 날 찬성은 휴게소 공중화장실 근처에서 버려진 늙은 개를 발견한다. 완강히 거부하는 할머니에게 찬성은 불쑥 개를 “책임”지겠다고 말한다. “본인도 깜짝 놀랐다. (…) 태어나 처음 해 본 말이었다.” 찬성은 한 존재가 다른 한 존재를 책임진다는 것이 얼마나 뿌듯한 기쁨인지를 알아 간다. 그러나 그것은 책임의 한쪽 얼굴일 뿐이다. 개 ‘에반’이 암에 걸려 안락사를 고려해야 하는 상황을 맞게 되자 찬성은 누군가를 책임진다는 것은 그의 고통을 함께 감내해야 하고 극단적 선택조차 고민해야 하는 엄중한 일임을 배운다.

기사 이미지

김애란은 우리의 일상을 익살스럽게 표현해왔다. 『두근 두근 내 인생』 『달려라 아비』 등을 냈다. [중앙포토]

안락사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찬성은 전단 아르바이트를 해 11만4000원을 번다. 그런데 병원에 갔더니 하필 “상중(喪中)”이라 며칠 문을 닫는다는 것. 그때 찬성은 묘한 안도감을 느낀다. 그것은 에반을 떠나보낼 시간을 미룰 수 있다는 안도감만은 아닌 것이었다. 찬성은 어렵게 모은 돈을, 자기 자신을 위해 조금씩 쓰기 시작한다. 죄책감을 느끼면서도 어쩔 수 없지 않느냐고 그럴듯한 합리화도 해낸다. 어쩌면 우리 모두의 것일 찬성의 나약함을 지켜보는 일은 아프다. 그러나 이것은 김애란의 소설이다. 당연히 거기서 더 나아간다.

에반이 사라진다. 처음 에반이 발견된 장소 부근에서 찬성이 피가 밑으로 새어 나오는 불룩한 포대를 발견했을 때 근처의 누군가가 말한다. “아이, 진짜라니까. 그 개가 일부러 뛰어드는 것 같았다니까. 차가 지나가기를 기다렸다는 듯이.” 여기까지 다 읽고 나면 비로소 이 소설이 반복의 구조로 돼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어쩌면 할머니와 아버지 사이에 있었을지 모를 어떤 마음의 사건이 찬성과 에반에게서 반복된 것일지도 모른다고. 그리고 생각하게 된다. 누군가를 사랑해 책임지는 일이 어째서 나를 용서를 빌어야 할 사람으로 만들기도 하는가를.

이것은 그저 할머니와 소년과 개 한 마리가 나오는 이야기다. 어떻게 이런 이야기 안에 책임과 용서에 대한 윤리학적 성찰이 이토록 아프게 담길 수 있는 것인지 나는 어리둥절하다. 언젠가부터 김애란의 단편을 읽을 때 나는 좀 이상한 마음의 준비를 한다. ‘아무리 김애란이라도 쓰는 것마다 좋을 수는 없다. 당연히 실망할 수 있고 그게 이번일 수 있다’. 그러나 이번에도 내 각오는 머쓱해졌다. 소설의 본질과 미래에 대해 세상이 어떤 갑론을박을 하건, 어떤 빛나는 재능의 소유자들은 그냥 조용히 좋은 소설들을 써낸다.

신형철 문학평론가·조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