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증시 3개월 흐름 보면 대선 결과 보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국 대선의 풍향계로 ‘주가 동향’이 주목받고 있다.

오는 11월 8일 투표를 앞두고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가 오르면 클린턴 민주당 후보가 집권에 성공하고 내리면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당선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7월 31일(현지시간) CNN머니는 S&P글로벌마켓인텔리전스의 보고서를 인용해 “대선 직전 3개월(8월 1일~10월 31일)의 증시 흐름을 보면 대선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고 전했다.

S&P글로벌마켓인텔리전스의 애널리스트인 샘 스토벌은 이 보고서에서 “대선 투표 직전 3개월 동안의 S&P500지수 흐름을 조사한 결과 주가지수가 오른 경우에는 집권당 후보 승률이 82%, 주가지수가 내린 경우에는 야당 후보 승률이 86%에 달했다”고 분석했다.

CNN머니는 “경제가 선거의 최대 변수”라며 “유권자들이 경제가 나아지고 있다고 느끼면 여당에 계속 표를 주고 경제가 안 좋아지면 ‘리더를 바꿔보자’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샘 스토벌에 따르면 과거 22번의 대선 중 주가 동향과 대선 결과 간 연관성이 빗나간 것은 1944년 이후 단 3차례 뿐이다. 강력한 제3당 후보가 나왔을 때(68년·80년)와 수에즈 운하 분쟁(56년)처럼 지정학적 변동이 있었을 때다. 투자전략과 경제 분석 전문기관인 스트레이티거스리서치파트너스(Strategas Research Partners)의 애널리스트인 다니엘 크리프턴은 “증시는 경제의 트렌드를 반영한다. 투자자들은 미래 기업의 실적이 좋아지는 등 경제에 대한 기대감이 올랐을 때 주식 매입을 한다”고 설명했다.

임채연 기자 yamfl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