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엔화 환율 470원까지 간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상승세가 주춤하던 대일 엔화 환율이 지난 10월말을 고비로 다시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30일 일화 1백엔당 4백20원선을 넘어섰던 대엔화 환율은 6일 다시 4백30원선을 넘어섰다.
이처럼 엔화환율이 급등하는 것은 주요 외환시장에서 엔화가 다시 강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엔화강세가 얼마나 더 지속될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누구도 확답을 할 수는 없지만 일단 1백90엔대가 유력시되고 있다.
이경우 원화의 대엔화환율은 더욱 올라갈 전망이다.
G5회담이후 엔화 대달러환율이 14·9% 낮아졌고 이 기간동안 원화의 대엔화환율은 16· 9%가 높아졌는데 이런식으로 갈 경우 만약 1백90엔대까지 가면 1백엔당 4백60∼4백70원선까지 가리라는 예측도 있다.
이같은 달러화약세· 엔화강세는 대외의존도가 매우 높고 또 그 대부분이 미·일에 집중돼있는 우리의 경제구조 때문에 국제수지나 물가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우리나라의 환율구조는 이른바 관리변동환율제로 주요5개국 통화의 움직임을 가중평균해 반영하고(복합바스킷 시스팀) 여기에 정책적 고려가 덧붙여 결정된다.
최근 달러약세에도 불구하고 대미달러환율이 거의 변하지 않고 있는 것은 대미수출경쟁력 약화를 우려한 정부가 정책적으로 환율을 일정수준에서 유지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엔화환율이 오르고 대미달러환율이 제자리에서 묶일 경우 우리의 수출경쟁력은 높아진다. 대일수출은 물론이고 대미시장에서의 수출경쟁력도 다소 개선될 수 있다.
지난 9월말 이후 원화의 대미달러환율은 거의 변동이 없었던데 비해 엔화는 15%가까이 평가절상됐고 대만달러와 싱가포르달러도 각각1·1, 3·6%씩 가치가 상승, 상대적으로 원화를 평가절하시킨 효과가 생겼다.
반면에 수입은 부담이 늘어나 다소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일본과 마찬가지로 파운드·마르크· 프랑스 프랑화등 강세를 보이고 있는 주요유럽시장에서도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그러나 물론 수출· 수입이 환율만으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환율상승으로 우리 상품 가격경쟁력이 높아질 경우 바이어들은 대개 수출가인하를 요구하는데 10월 들어 일본이나 EC지역의 바이어들이 값을 깎아달라는 요구가 부쩍늘고 있다는 것이 업계 얘기다.
수입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엔화강세는 결국 일본에서 수입하는 상품가격을 그만큼 높이는 효과가 있어 이론적으로 수입수요는 줄어야 하지만 국내조달이 불가능한 경우는「울며 겨자먹기」로 비싸도 사야만 한다.
우리나라의 대일수입은 전체수입의 25%, 공산품수입의 40%정도를 차지하고 있는데 많은 부분이 기계설비·부품등으로 수출을 위해서는 수입이 불가피한 경우가 많다는 것이 큰 약점이다.
최근 일본에서 많은 설비·부품등을 들여다 쓰던 전기·전자업계등에서 수입대체 움직임이 활발한 것은 이같은 구조적인 문제를 타개해보자는 발상에서다.
환율인상이 무역수지에 단기적으로는 플러스영향을 미친다는것이 한은등의 경험적 분석이다.
우리경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달러환율의 움직임이 사실상 정책적으로 고정된 상태여서 무역수지개선에 미칠 효과를 분석하기 어렵지만 엔화가치가 1달러당 2백엔수준이 되고 미달러환율은 1달러당 8백90원에서 묶일 경우 수출은 1억∼2억달러 늘고 수입은 4억∼5억달러가 줄어 전체적으로 5억∼7억 달러의 무역수지개선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게 한은등의 분석이다.
그러나 물가상승이란 마이너스면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엔화로 결제할 경우 수입가격은 엔화상승폭만큼 오르게 되며 또 달러로 결제한다해도 자국내에서 달러가치약세를 들어 달러표시가격을 높여 부르기 때문에 어느쪽이든 수입가는 오르게 마련이다.
일본측의 분석으로는 엔화의 가치가 1%오르면 수출물가는 0·7%가 오른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산술적으로 따져 엔화가치가 20%오른다면 약14%의 수출물가상승압력이 있고 전체수입의 25%를 일본에서 들여오는 우리나라에는 단순계산으로 수입물가에 약3·5%의 상승 요인이 생기는 셈이다.
이같은 수입물가상승은 물론 국내도매물가에도 영향을 미쳐 0.8∼0.9%정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것으로 전문기관은 보고 있다.
물론 대미달러 환율을 실세에 맞춰 낮출 경우 수입물가상승압력은 크게 상쇄되겠지만 수출부진을 타개키 위해서는 그럴 수도 없다는 게 정책당국의 고민이다.
결국 현재의 환율정책은 물가보다는 수출을 통한 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이로 인한 부담을 극소화시키기 위해서는 수입선의 다변화, 기계설비·부품등 수입공산품의 조속한 국산화정책등이 매우 절실한 상황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