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취재일기

삼성의 ‘반바지’‘홍길동님’ 실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임미진
임미진 기자 중앙일보 기자
기사 이미지

임미진
경제부문 기자

처음엔 “애걔” 싶었다. 삼성전자가 27일 발표한 인사제도 개편안 말이다. “조직 문화를 확 뜯어고치겠다”며 1년이나 공을 들였다. 10만 직원의 삼성전자에 스타트업 문화를 심겠다는 포부도 거창했다. 결론이 ‘반바지’와 ‘님’ 호칭이라니. 효율적인 회의나 빠른 보고, 불필요한 잔업 철폐 같은 항목은 눈에 들어오지도 않았다. 당연한 것 아닌가.

이런 실망감은 기자만이 아니었나 보다. 젊은 삼성 직원들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냉소적 반응이 적지 않았다. “크게 바뀔 거라고는 기대도 안 했다”거나 “스타트업 문화로 바꾸겠다면서 사장들이 나와서 선서하는 자체가 삼성스러웠다”며 시큰둥했다. “이 정도 내용도 실천하긴 힘들 것”이란 부정적 전망도 나왔다.

허무한 마음에 한 임원에게 전화를 걸었다. “왜 더 과감하게, 확 뜯어고치지 못합니까.” 한참 들은 해명을 거칠게 요약하자면 이렇다. “삼성이 한국을 벗어나지 않는 이상 어떻게 더 바꿉니까.”

틀린 말은 아니다. 삼성만이 아니라 한국의 조직 문화가 수직적이다. 처음 만나면 나이를 묻고 서열을 정한다. 한 살이라도 위면 ‘형’이나 ‘언니’로서 조언을 시작한다. 말대꾸라도 하면 “인생 선배로 얘기하는데…”라고 이맛살을 찌푸린다.

기사 이미지

삼성전자는 지난 3월 조직문화를 혁신하자며 ‘스타트업 컬처혁신 선포식’을 진행했다. [사진 삼성전자]

연공주의도 서열 문화의 산물이다. 사원으로 들어와 부장이 될 때까지 조금씩 연봉도 올라가고 목소리도 커진다. 성과를 못 내도, 몇 년째 같은 일을 하고 있어도 그렇다. 그런 조직에선 모난 돌이 안 나온다. 윗사람 눈치 보며 버티다 보면 나도 과장이 되고 부장이 된다. 왜 나서서 모험을 하겠는가.

이런 문화를 감안하면 개편안은 작은 변화가 아니다. 과장·부장 직함이 다 없어진다. 20대 신입사원이 40대 부장급 직원을 “길동님”이라고 부른다. 길동님은 받아들일 수 있을까. ‘눈치보기 식 야근 철폐’ ‘충분한 휴가 사용’ 등의 항목도 ‘말만 그렇지 실제로 되겠어’ 싶다. 그 임원 말도 틀리지 않았다. 한국에선 이 정도만 실천해도 큰 변화다.

이런 사정을 다 알면서도 실망감이 나오는 이유는 뭘까. 지난해 삼성의 전체 매출에서 국내 매출 비중은 10.4%에 불과했다. 세계 직원 32만 명 중 국내 직원은 3분의 1도 안 된다. 분명 한국 기업이지만 본질은 ‘글로벌’ 기업이다. 실망의 목소리를 내는 이들의 속내는 이런 것이 아닐까. “다른 대기업은 한국 문화의 굴레를 못 벗어나도 세계로 뛰는 삼성전자는 달라야 하는 것 아니냐”는.

삼성전자의 ‘길동님’ 실험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는 세계 무대에서 검증될 것이다. 그 결과는 다른 대기업과 한국 문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삼성전자가 책임감을 가지고 이번 개편안을 제대로 실천해야 하는 이유다.

임 미 진
경제부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