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셰프릴레이 16] 윤화영이 박우수에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한 그릇의 음식에 담긴 인연과 철학, 셰프가 주목하는 또 다른 셰프를 통해 맛집 릴레이를 이어 갑니다.


기사 이미지

윤화영 셰프

음식은 수학처럼 암기할 게 많다. 하지만 암기만으론 되지 않는 것도 수학과 비슷하다. 『음식의 정석』(만약 그런 게 있다면)을 펴놓고 밤새 외운다고 될 일이 아니다. 오랜 시간 차곡차곡 데이터를 쌓았다가 필요한 순간 얼마나 잘 기억해 내고 활용하느냐가 요리사의 실력을 가른다.

무심한 듯 숙련된 손놀림으로
스시 칼집 간격까지 맞춤 서비스
손님이 먹는 건 음식 아닌 진심

우리 집엔 요리책만 2500권쯤 있다. 쉬는 틈틈이 찾아보며 재료별로 레시피를 정리·종합한다. 요리를 예술로 보는 사람도 있지만 나 자신은 한 번도 예술가라고 생각해본 적이 없다. 예술가도 테크닉을 익히지 않으면 원하는 것을 만들어 낼 수 없다. 나의 바람은 좋은 기술자가 되는 것이다. 좋은 기술만이 손님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다. 그것은 장난이나 편법으로 얻을 수 없다.

기발한 아이디어를 내는 것은 오히려 쉽다. 문제는 대중을 상대하는 레스토랑에서 어떤 음식은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지난 5월 초 나흘 연휴 때 ‘메르씨엘’(부산시 해운대)에 1150명이 방문했다. 과연 이 아이디어와 재료로 이 많은 손님에게 충분히 서비스할 수 있는지 빠르게 판단해야 했다. 이런 직관은 차곡차곡 암기된 학습에서 나오고 그걸 발휘하는 게 연륜이고 경력이다.

강민구 셰프(‘밍글스’)가 프랑스에서 일하던 내 모습이 롤모델이었다 했지만, 나 역시 누군가 깔아 준 바탕 위에서 가능했다. <본지 5월 30일자 20면 셰프릴레이 15회>

특히 100여 년 전 요리노동자로 파리에 먼저 발 디뎠던 일본인들의 힘이 컸다. 거의 모든 주방에서 일본인과 일할 기회가 있었는데, 그들의 근면하고 투철한 직업 정신에 감화됐다. 일본인이 아시아인에 대한 좋은 인상을 심어 준 덕에 한국인인 나도 순탄하게 출발할 수 있었다.

기사 이미지

‘아오모리’의 스시 모둠

기사 이미지

박우수 셰프

개인적으로 워낙 스시(초밥)를 좋아해 ‘메르씨엘’이 쉬는 월요일엔 점심 먹으러 스시집을 자주 간다. 해운대 센텀호텔 일식집 ‘아오모리’다. 아담한 규모의 식당에 들어서서 스시 카운터로 향하면 약간은 긴장한 듯 반듯한 모습의 박우수 실장이 맞아 준다. 2008년 문 연 이래 늘 실장이다. 오너셰프이면서도 사장이라 하면 손님에게 거리감을 준다고 이 직함을 고수한다. 티끌 하나 없이 청결한 히노키(노송나무) 도마에서 한 치 오차 없는 손놀림으로 생선살을 뜬다. 무심한 듯 숙련된 동작으로 두툼한 스시를 쥐어 접시 위에 올려 준다. 입에 넣는 순간, 내가 먹는 것이 음식이 아니라 이 사람의 진심이구나 싶다. 손님을 주시하고 있진 않지만 턱과 치아의 미세한 움직임을 기억했다가 다음 스시 때 더 편하게 먹을 수 있게 칼집 간격을 배려하기도 한다. 철마다, 날마다 바뀌는 생선을 꿰고 있지 않는 한 어림없는 섬세함이다.

서울에 정말 좋은 스시집이 많다. 어쩌면 트렌드는 서울이 앞설 것이다. 박 셰프의 스시는 말하자면 클래식한 느낌이다. 대신 ‘1대1로 서비스하는 음식’으로서의 스시의 본질이 배어 난다. 언젠가 꿈을 여쭤 보았다. “지금 60석 정도인데 나이 들면 이 규모를 감당할 수 없을 테니까. 좀 작은 규모의 스시전문집을 차려 모든 손님에게 정성을 다하고 싶어요.” 이런 어린아이 같은 마음으로 손님을 대하는 요리사를 나는 이제껏 본 적이 없다. 

정리=강혜란 기자, 사진=송봉근 기자 theoth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