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통곡의 벽, 추모(追募) '포스트잇'하다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기사 이미지

 [Story O] 추모 문화 /나도 그를 위해 '포스트잇'을 붙였습니다

#1
즉석밥, 미역국, 케이크, 그리고 포스트잇
어울리지 않아 보이는 물건들이 서울 지하철 2호선 구의역에 놓였습니다
사진설명: 2016년 5월 31일

#2
2016년 5월 28일, 작업중이던 정비업체 직원 김모씨가
전동차와 스크린도어 사이에 끼어 숨진 현장입니다
사진설명: 사고 현장[뉴시스]

#3
19살의 김씨가 밥도 거르고 일할 만큼 열심히 살아온 청년이라는 사실까지 알려지면서
사람들의 추모 발걸음이 이어졌는데요
사진설명: 숨진 김모씨가 사고 당시 지니고 있던 물품

#4
사람들이 사고 현장에 남긴 건 형형색색 포스트잇에 쓴 ‘손편지’
‘그곳에서는 컵라면 말고 따뜻한 밥 챙겨 드세요’
‘죽도록 노력해도 청년들이 죽음으로 몰리는 사회’
사진설명: 2016년 6월 1일

#5
포스트잇은 '강남역 살인사건' 때부터
추모의 도구로 자리잡았습니다
사진설명: 2016년 5월 23일, 강남역 10번 출구

#6
‘추모(追慕)’ 죽은 이를 기리며 생각하다
대형 사건?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추모의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9
2003년 192명이 사망한 ‘대구지하철 방화 사건’ 은 검게 그을린 벽에
직접 글을 써 희생자들을 추모했습니다
사진설명: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방화 사건 현장

#10
“그 날을 잊지 말자”
이 벽은 ‘기억의 공간(통곡의 벽)’으로 불리며 보존돼 유족을 위로하고
시민들의 경각심을 일깨워 주는 공간이 됐습니다
사진설명: 2013년 2월 11일, 대구 중앙로역 통곡의 벽

#11
2014년 세월호 참사 때는 ‘노란 리본’이 대한민국 곳곳에 달렸습니다
노란 리본은 미국에서 전쟁에 나간 군인이 무사히 돌아오기를 바라며
나무에 묶어둔 데서 유래된 추모 방식
사진설명: 2012년 5월 25일, 서울도서관 ‘4·16 세월호 참사 기억, 별이 되다’ 전시장의 노란 리본

#12
SNS 공간에서도 추모 열기는 뜨거웠습니다
프로필 사진을 노란 리본으로 바꾸거나
노란 리본 이미지를 게시하고 공유하며 슬픔을 나눴죠
사진설명: 2014년 4월 23일, SNS로 확산된 노란리본

#13
이제 사람들은 작은 종이에 손편지를 적어 슬픔을 나누기 시작했습니다
마치 댓글을 쓰는 것처럼 말입니다.
사진설명: 강남역 살인사건 추모 포스트잇들

#14
“마이너리티(minority)들의 공감과 울분이 포스트잇으로 현실에서 극적으로 표출됐다”
전문가들은 이 추모 문화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사진설명: 2016년 5월 31일, 구의역 추모 현장

#15
"‘나 역시 희생자가 될 수도 있었다’ 는 현실에 대한 불안과 불만이
정서적이고, 직관적인 ‘포스트잇’으로 표현됐다"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사진설명: 2016년 6월 1일, 구의역 추모 현장

#16
디지털 시대에서도 아날로그의 힘은 빛을 발했습니다
서울메트로는 정비 인력을 늘리고 작업 정보를 공유하는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놨고
사진설명: 2016년 6월 1일, 재발 방지 대책 발표하는 정수영 서울메트로 사장 직무대행 겸 안전관리본부장

#17
시민들은 추모가 일상이 된 슬픈 현실에서 공감으로 하나가 됐습니다
작은 종이 한 장이 만든 추모 물결이 대한민국을 뒤덮었습니다
사진설명: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고 추모

#18
사연에 따라, 시대에 따라 달라진 추모 메시지 전달법
이제 슬픔을 나눠야 하는 일은 더이상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사진설명: 2016년 5월 19일, 강남역 살인 사건 추모 현장

취재.구성 이근아/ 디자인 주보경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