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끈한 경선"에 잡음도 "화끈"|전육 정지부차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전당대회를 치러 가는 신민당의 속사정을 들여다보면 몇 가지 문제점과 함께 야당의 달갑잖은 내림 같은 것을 새삼 보게된다.
가장 두드러진 예는 계파간 이해다툼이 과거와 조금도 다름없다는 점이다.
신민당의 배후에 김대중·김영삼씨가 있고 그들이 당 운영과 노선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은 천하가 다아는 사실이다. 그 둘이 왜 신민당 바깥에 있는가도 다 알고 있다.
그래서 두 김씨가 이민우 총재를 재추대키로 합의했을 때 다른 도전자가 이 총재를 꺾기는 어렵겠구나하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떠올랐다. 3자가 합하면 명분과 실세가 우선 앞서기 때문이다. 그러나 막상 당권레이스가 벌어지자 두 김씨는 배후의 킹 메이커가 아니라 그들이 바로 이해당사자라는 것을 너무나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마치 전승국이 패전국의 영토를 분할하듯 신민당의 모든 것을 양분하는데 골몰했다.
총재임기 2년을 1년으로 줄이는 것에서부터 시작해 부총재인선, 부총재 선출방법, 당직배분에 이르기까지 모든 자리와 사람은 두 김씨에 의해 좌우되는 인상를 주었다.
창당 때와는 실세가 달라졌다고 해서 50대 50으로 출발한 민추·비민추간의 지분을 하루아침에 동교·상도동간의 양분체제로 바꾸려 들었고, 자기들이 미는 이총재와도 제대로 상의하는 과정이 없었던 것 같다.
이렇게 되고 보니 두 김씨는 신민당뒤의 「호메이니」 라는 이미지는 사라지고 자파이익에 골몰하는 계파보스라는 인상으로 부각되면서 비민추로부터는 「반민주」니 「작태」니 하는 빗발 지는 비난을 듣게됐다.
아닌게 아니라 갑이 야당을 하면서 민추·비민추라는 양분논리를 앞세워 한쪽을 사실상 고사(?) 시키려 한다면 전국대의원들에게 이총재를 지지하는 서약서롤 사건에 받는 행위와 더불어 비민주적이라는 비난도 나올법하다.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합집산하는 양태도 과거와 비슷하다. 두 김씨의 강공에 밀리자 융합이 불가능할 것으로 보이던 비민추 각파가 연합세력을 형성했는가 하면 하루아침에 정부·여당보다 더 지독하게 두 김씨를 매도·격하하는데 열을 올리고 있다.
돈 얘기가 시끄럽고 당외작용설이 나도는 것까지도 과거와 어쩌면 그렇게 닮았는지 모르겠다. 누구는 벌써 몇억을 썼는데 그 돈이 어디서 나왔겠느냐, 누구가 이렇게 돌아선데는 무슨 작용이 있는 게 아니냐는 등 야당에 고질적인 피곤한 얘기들이 이번에도 나오고있다.
이런 현상을 보면서, 세월이 가고 시련을 겪으면 과거의 오점이 개선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텐데 그렇지 않구나 하는 느낌도 있고, 소리야 좀 나지만 이런 화끈한 민주적 경선과정을 몇 년만에 볼수 있구나 하는 느낌도 없는건 아니다.
과정의 문제점을 전당대회라는 용광로를 거치면서 모두 녹여내고 다시 단합된 신민당의 모습을 되찾을 수 있을는지 두고볼 일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