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5·18 민주화 운동, 통합의 장으로 만들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어제 광주 운정동의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36주년 기념식’이 반쪽 행사로 진행된 것은 국가적인 불행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 행사에 3년 연속 불참했다. 여야 대표들이 목청껏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를 때 황교안 국무총리와 현기환 청와대 정무수석이 입을 굳게 닫고 자리에 서서 태극기만 흔드는 모습은 눈살을 찌푸리게 하기에 충분하다. 노래가 시작되자 퇴장한 보수단체 회원들도 마찬가지다. 국가 행사의 주무인 박승춘 국가보훈처장이 이 노래의 제창을 불허했다는 이유로 기념식장에 앉지도 못하고 쫓겨난 일도 답답하기만 하다.

더 큰 문제는 행사가 인권과 민주주의라는 5·18 민주화운동의 의미를 부여하는 장이 되기는커녕 ‘노래 논란’의 싸움터로 전락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5·18의 의미와 그 정신의 계승이 뒷전이 된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1980년 5월의 광주 민주화운동은 국가 폭력에 맞선 반독재 투쟁이다. 고통 속에서 피로 쓴 5월의 역사에는 민주화에 대한 국민의 시대적 열망이 오롯이 담겨 있다. 고귀한 정신과 희생이 1987년 6월의 민주항쟁으로 이어져 대한민국은 지금의 헌법을 갖게 된 것이 아닌가. 우리는 이를 통해 그토록 갈망하던 민주화를 이룰 수 있었다. 아무리 시간이 흐르고 시대가 바뀌어도 광주는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역사다. 5·18 민주화운동이 국가행사로 열리고 광주의 넋들이 묻힌 묘역이 국립 민주묘지가 된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일이 지금처럼 꼬이게 된 데는 정부의 불통이 원인을 제공했다. 하지만 이를 정치적으로 활용해 온 야권 인사들도 책임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어떤 방식으로 부르느냐를 놓고 매년 논란을 벌이는 것은 국가적인 낭비다. 정치권은 여야 할 것 없이 영령 앞에서 5·18 정신을 진심으로 되새겨야 한다. 국민과 사회를 하나로 묶어 낼 통합의 리더십을 ‘광주 정신’에서 찾아야 한다. 이젠 5·18을 정치에서 풀어 주고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역사로 승화시킬 방법을 찾을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