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구 “현역 중 저성과·비인기자 공천 배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기사 이미지

새누리당은 4일 공직자후보추천관리위원회(공관위) 위원장에 친박계 이한구(4선·대구 수성갑) 의원을 임명했다.

3당 공천관리(심사)위원장 임명

이 위원장은 기자회견에서 “정치개혁의 첫걸음이 공천개혁”이라며 “공천개혁의 의지를 실현시키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새누리당은 상향식 공천제도를 도입했기 때문에 공관위가 영향을 미치는 데 한계가 있지만 최대한 국민 기대에 맞는 후보자들을 공천하겠다”고 했다.

-‘현역 도 거저 공천되는 게 아니다’고 했다.

“현역 의원 중 저성과자 또는 비인기자들은 공천에서 배제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상향식 공천제도가 현역한테 지나치게 유리하게 작용되지 않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역이라고 무조건 물갈이하겠다는 식의 접근은 있을 수 없다. 유권자들의 판단이 제일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

- 경선 없는 우선추천지역제·단수후보추천제는 어떻게 적용할 건가.

“전국 어디서나 가능하다. 어떻게 활용할지는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봐야 한다. (활용) 안 하면 어떻게 당내 기반이 약한 우수한 사람들을 모셔올 수 있나.”

- 최경환 의원의 예비후보자 선거사무소 개소식 방문이 경선룰 위반이란 지적이 있다.

“최 의원이 다니면 무조건 효과가 있는 건가? 경선과 무슨 관계가 있는지 잘 모르겠다.”

이 위원장의 회견 후 비박계인 김학용(김무성 대표 비서실장) 의원은 “공관위가 꾸려지기도 전에 위원장이 공천룰에 관한 예민한 얘기를 한 건 적절치 않다”며 “공관위원장은 경선을 관리할 뿐이지 독단적인 권한을 가진 자리가 아니다”고 말했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홍창선 “서운할 사람 상당할 것…골치 아픈 일”

기사 이미지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4일 홍창선(72) 전 KAIST 총장을 공천관리위원장으로 발표했다.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자택에서 기자와 만난 홍 위원장은 “나는 무색무취하고 계파도 없다. 공천에도 계파가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능력이 되는 사람은 공천을 받고 안 되는 사람은 못 받는 것”이라고 했다.

더민주의 공관위원장은 경선(선거인단 투표)을 관리한다. 주목되는 건 현역 의원 20% 컷오프(공천 배제)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김 위원장은 “홍 전 총장이 국회의원을 지내 정치 현실도 잘 이해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17대 국회에서 열린우리당 비례대표 의원을 지냈다.

- 공관위원장을 어떻게 맡게 됐나.

“김종인 위원장이 ‘정치를 하라는 게 아니라 정치를 잘할 사람을 골라 달라’고 제안해 맡았다. 야당이 분열했는데 둘 다 전멸하면 큰일이니 (더민주) 하나라도 살려야 한다.”

- 공천 기준은.

“나는 정치의 관찰자였다. 국민 시각에서 봐 왔다. 병역과 납세 등 국민의 의무를 안 한 사람은 부적절하다. 국민 눈높이에서 지탄받는 사람들을 우격다짐으로 공천하는 일은 없을 거다. 서운하게 생각할 사람이 상당히 있을 거라 골치 아픈 일이 될 것 같다.”

- 더민주의 계파 갈등이 심각했다.

“정치에 계파는 의미가 없다. 친박이 비박이 되는 것만 봐도 알 수 있지 않나.”

- 20% 컷오프는 어떻게 적용할 건가.

“무조건 20% 컷오프라는 건 없다. 10%도, 30%도 될 수 있다. 사람을 보고 정하겠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전윤철 “패거리 정치에 함몰된 사람 안 된다”

기사 이미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4일 전윤철(77) 전 경제부총리를 공천자격심사위원장 겸 당 윤리위원장에 임명했다. 후보자 심사에 “정말 추상같이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줄 것”이라면서다.

전 위원장은 기자회견에서 “국민 눈높이에 따라 부정부패는 당연히 안 되고, 패거리정치에 함몰돼 자기 소신을 펴지 못하는 정치인은 안 되지 않느냐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좌고우면하지 않고 국민의 눈높이에서 심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노무현 정부 5년간 감사원장을 연임한 것을 포함해 장관급 이상 공직만 여섯 차례 역임했다. 소신대로 국무회의 석상에서도 호통을 쳐 별명이 ‘전핏대’ ‘혈죽(血竹) 선생’이다. 전 위원장은 천정배 공동대표가 추진한 국민회의 창당준비위원을 지냈다.

- 후보자 심사를 어떻게 할 건가.

“김대중 대통령 비서실장 때도 안 맞는 말씀을 하시면 검토하겠다고 하고 나와 두세 번 다시 들어가 말씀을 드렸다. 원칙에 따라 소신대로 할 거다.”

- 당헌상 기소되면 공천배제가 원칙인데.

“적정 후보를 어떻게 고를지 기준이 정해지면 한 치 오차도 없을 거다.”

- 심사 원칙은.

“정치가 패거리, 패권주의와 인기영합주의에 함몰돼 발전을 가로막을 때가 한두 번이 아니었다. 세계화 시대 엄청난 속도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사람이 정치해야 한다.”

- 천 대표는 호남 물갈이를 주장하고 있다.

“ 뭔가 새로운 모멘텀을 만들어야 한다는 뜻을 물갈이로 표현한 것 같다.”

정효식 기자 jjpo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