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노 “위안부 합의, 한·일 정상에 경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기사 이미지

1993년 8월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처음으로 인정하고 사죄하는 내용의 ‘고노 담화’를 발표한 고노 요헤이(河野洋平·사진) 전 일본 관방장관이 한·일 위안부 합의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양국 정부의 위안부 합의 이후 첫 언급이다.

“무거운 결단…전진 위해 힘을 내야
소녀상 이전은 한국 믿고 기다려야”

고노 전 장관은 14일 밤 BS후지 ‘프라임 뉴스’ 인터뷰에서 “합의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두 정상에게) ‘잘 결단했다’고 솔직하게 경의를 표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고노 전 장관은 또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와 비슷한 생각을 가진 (보수·우익) 인사들은 (합의에) 불만이 많았다”며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총리) 두 정상 모두 매우 무거운 결단을 내렸다”고 했다. 그러면서 “중요한 결단인 만큼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힘을 내지 않으면 안 된다”며 합의의 착실한 이행을 촉구했다.

이어 일본 정부가 철거를 요구하고 있는 주한 일본대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에 대해선 “기본적으로 한국 정부의 성의 있는 노력을 기다릴 수밖에 없다”며 “그 정도(기다리는 것)도 할 수 없다면 양국의 신뢰 관계는 성립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고노 전 장관은 이날 “위안부는 직업 매춘부였다”는 망언으로 물의를 일으킨 사쿠라다 요시타카(櫻田義孝) 자민당 중의원 의원에 대해 “정치가로서 실격”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당의 중진 의원이 이 같은 발언을 한 건 매우 놀랍다. (위안부 문제를) 전혀 공부하지 않고 있다”고 질타한 뒤 “합의가 나왔기 때문에 최소한 불규칙한 발언을 엄격히 삼가면서 한국 정부의 국민 설득 작업을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베 총리도 15일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사쿠라다 의원의 망언과 관련한 질문을 받고 “여러 발언 자체를 봉쇄하지는 못하지만 (일본) 정부와 여당 관계자는 한·일 합의에 입각해 앞으로 발언하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도쿄=이정헌 특파원 jhleehop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