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는 도덕성, 50대는 양극화 해결 중시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53호 2 면

내년 20대 총선에서 20~30대는 ‘낮은 투명성과 도덕성’을, 50대는 ‘경제 양극화’를 정치권이 풀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로 꼽는다. 중앙SUNDAY가 총선 D-150일을 맞아 한국사회여론연구소와 공동으로 20대 총선 의제에 대해 여론조사한 결과다.


 ‘내년 총선에서 한국 사회의 가장 시급한 문제’를 꼽는 질문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34.8%가 ‘낮은 투명성·도덕성’을 선택했다. 이어 ‘경제적 양극화’(23.7%), ‘국가 안보’(16.4%), ‘일자리 부족’(12.8%) 등이 뒤를 이었다. 최정묵 한국사회여론연구소 부소장은 “메르스 사태와 롯데 경영권 분쟁 등을 겪으면서 사회 전체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하는 추세”라며 “정치권이 불투명하고 부도덕한 사회 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정서가 확산되면서 ‘정의’에 대한 가치가 총선에서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20~30대의 응답률이 각각 44.3%와 52.3%에 달해 ‘낮은 투명성, 도덕성’을 가장 심각한 문제로 인식했다. ‘금수저 흙수저’란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사회 진입 때부터 불평등을 느끼는 세대이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반면 베이비붐 세대인 50대는 ‘경제적 양극화’(32.2%)를 가장 중요하게 꼽아 경제 문제에 대한 위기 의식이 컸다.


 민생 문제에서도 세대별 요구가 확연하게 엇갈렸다. ‘정치권이 일상생활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를 묻자 20~30대는 ‘주거비 부담’을 가장 많이 꼽았지만 50대 이상은 ‘생활비 부담’을 우선 해결해야 한다는 답이 많았다. 40대는 ‘주거비 부담’(30.7%)과 ‘생활비 부담’(33.5%)이 오차범위 내에서 비슷한 응답률을 보였다.


 정권심판론의 위력이 예전 선거보다 약해질 것이란 해석도 있다. 내년 총선의 성격에 대한 질문에 대해 ‘정부의 힘을 실어주는 선거’(33.1%)라는 응답과 ‘정부의 잘못을 심판하는 선거’(35.4%)라는 답변이 오차범위 내에서 팽팽하게 맞섰다. ‘지역일꾼을 뽑는 선거’라는 의견도 25.1%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 장승진 국민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노선 논쟁에 치중하기보다는 세대별 요구에 맞는 정책을 내세운 마이크로 타기팅 전략을 통해 어떤 정당이 유권자를 더 많이 설득할 수 있느냐가 승패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대 교체 등 변화에 대한 욕구도 드러났다. 지역구 의원에 대한 평가를 묻자 ‘못한다’(38.5%)는 답변이 ‘잘한다’(26.8%)보다 10%포인트 이상 앞섰다. 현역 의원(17.9%)보다는 정치 신인(24.2%)을 뽑겠다는 의견이 더 많았다. 이번 조사는 4~6일과 11~13일 두 차례에 걸쳐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4500명을 대상으로 유?무선 전화 설문조사로 진행됐다.


▶ 관계기사 8면


천권필 기자 feeli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