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단독] 신장암 수술 이문열 “세상에 뭘 돌려줄까 고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소설가 이문열(67)씨가 최근 암수술을 받았다. 지난 6월 왼쪽 신장에서 암세포를 발견해 5분의 2 정도를 잘라냈다. 초기여서 항암치료를 받지 않지만 정신적 충격이 있을 듯했다. 경기도 이천 자택에서 최근 만난 그는 수술 이전보다 야위었으나 혈색은 괜찮아 보였다. 담담한 어조로 병세, 집필 계획 등을 밝혔다. 우리 문학계의 현안인 신경숙씨의 표절 의혹에 대해서는 그 역시 할 말이 많은 것 같았다. 일부라도 베낀 건 잘못이지만 절필 요구는 과하다고 했다.

 - 심려가 크겠다.

 “다른 부위로 전이되지 않았다. 그래서 항암치료도 안 받는다. 이달 말 자기공명영상촬영(MRI)과 컴퓨터단층촬영(CT)을 다시 한다. 그때 가 봐야 전이 여부에 대한 최종 판단을 할 수 있다고 한다.”

 - 어떤 생각이 들었나.

 “복부를 5㎝쯤 절개하고 네 개의 로봇팔을 집어넣어 암세포를 잘라냈다(이 대목에서 이씨는 윗옷을 걷어올려 수술 자국을 보여줬다). 한 열흘간 정신없더라. 여러 생각이 들었다. 우선 나이 들었다는 생각, 따라서 시간이 무한히 남아 있지 않다는 생각, 이제 어떤 일을 먼저 해야 하나 우선순위가 무척 중요해졌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까지 세상에서 받은 만큼 뭘 돌려줄 수 있을까, 그런 생각을 하니 마음이 바빠지고 말이 많아지는 것 같다.”

 - 좋아하는 술을 마시지 못하겠다.

 “한 100일 못 마셨다. 이달 말에 괜찮다고 하면 조금씩 마셔야지, 그것까지 못하면 어떻게 하겠나.”

 - 신경숙 표절 사태가 문단 안팎을 뒤흔들었다.

 “문단의 표절 논의를 보며 회의감이 들었다. 논의 방향이나 태도에 문제가 있다. 문학적인 토론보다 많은 경우 표절 문제 제기가 흉기처럼 활용된다는 느낌을 받았다.”

 - 뭐가 문제인가.

 “단편소설은 200자 원고지로 60∼100쪽 정도 된다. 신경숙이 표절했다고 하는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의 단편 ‘우국’은 좀 길다. 100쪽은 될 거다. 그중 여섯 줄을 베끼고, 소재와 구성에 유사성이 있다고 신경숙의 단편 ‘전설’ 전체가 표절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부분 표절 혹은 인가(認可) 없는 인용 정도가 어떨지.”

 - 그럼 어떻게 해야 표절인가.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는 문장은 성경에 나온다. 하지만 대개 그걸 밝히지 않고 사용한다. 윤동주 ‘서시(序詩)’의 한 구절인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은 맹자의 ‘군자삼락’ 중 ‘앙불괴어천(仰不愧於天)’과 같은 뜻이다. 동양에서 수천 년 동안 쓰였지만 윤동주가 표절했다고 하지 않는다. 이런 인용 표시 없는 인용 사례는 문학에 얼마든지 있다. 표절은 분량도 문제다. 소 한 마리, 쥐 한 마리를 넣고 끓인 국을 쥐국이라고 할 수 없지 않나. 의도적으로 주제와 소재를 베끼고 단어 몇 개만 다른 경우라야 표절인 것 아닐까.”

 - 그런 뻔뻔한 표절 사례가 있나.

 “얼른 생각나지 않는다. 외국에서도 없었던 것 같다. 내가 말하고 싶은 건 현대소설에서 표절의 정확한 개념 정립이 생각만큼 간단하지 않다는 거다. 가령 ‘왕자와 거지’ 이야기를 비틀어 줄거리를 바꿨다고 표절이라고 하지 않는다. 신경숙을 두둔하려는 게 아니다. 표절의 명확한 개념을 정립한 후 논의하자는 거다.”

 - 부분 표절에도 사람들이 분노했다.

 “표절을 용서하자는 게 아니다. 마녀사냥은 하지 말자는 거다. 작품의 주제가 같다고 표절이라는 식으로 엄격하게 하면 창조성의 죽음을 부를 뿐이다. 표절에 대한 정의가 어렵다는 합의 아래 문단 차원의 표절 기준을 만들고 상응하는 처벌 규정도 만들면 어떨까. 죄와 벌은 상당성이 있어야 한다. 97%가 다른데 3%가 같다고 작품 전체를 폐기하거나 작가에게 절필을 요구하는 것은 지나치지 않나. 표절의 낙인은 작가의 영혼에 대한 사형선고다.”

 - 몇몇 문학 출판사의 권력화, 카르텔(담합) 문제도 불거졌다.

 “ 한 신문사의 문학상 심사를 하며 답답한 느낌이 들곤 했다. 두세 개 부류에서 벗어나는 후보작 이 없을 정도로 요즘 한국 소설은 획일적이다. 출판사들의 카르텔과 관련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아직 설익은 생각이다. 그 정도만 얘기하고 싶다.”

 - 작품 집필은.

 “지난해 여름에 공언한 대로 대하소설 『변경』의 후속작을 준비해 왔다. 1980년대를 다루는 작품이다. 사회적·역사적 기억의 신빙성을 건드려 볼 생각이다. 대다수가 사실로 받아들이는 내용 중 이상한 대목도 있다는 점을 보이려 한다. 민주화운동 관련 재판 기록 1만 쪽을 구해 읽었다.”

 -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한다면.

 “가령 80년 5공화국의 출현을 ‘제국의 노을’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할 생각이다. 묘하게도 79년에 두 세계 제국이던 미국과 소련이 나란히 비틀거렸다. 소련은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했는데 이게 나중에 개방을 부르고 결국 소련 제국이 와해된 페레스트로이카(개혁)로 확대된다. 정보 소통, 개방이 안 되서 아프가니스탄 침공이라는 잘못된 정책을 선택했고, 그에 대한 반성에서 개방 쪽으로 흘렀다는 것이다. 미국은 베트남전 패전 이후 도덕주의를 내세운 카터 행정부가 탄생했는데 박정희 전 대통령을 못마땅해 했다. 79년 방한 때 정상회담에서 언성을 높이며 한국의 인권 탄압을 비판했다고 한다. 김재규 당시 중앙정보부장이 돌발적으로 박 전 대통령을 시해했다고 보지 않는다. 일을 벌여도 미국이 가만히 있을 거라는 교감이 어느 정도 있지 않았을까. 도덕주의는 미국 내부적으로는 바람직하겠지만 제국 경영에는 유리할 게 없다. 어쨌든 그런 미국의 변화가 한국에 분명히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한다. ‘제국의 노을’은 남한뿐 아니라 북한에도 영향을 미쳤다. 북한의 권력 세습이 제도적으로 확정적이게 된 것도 사실은 소련 제국의 노을일 것이다.”

 이씨는 “좀 전에 본 영화 얘기를 하듯 새 소설 줄거리를 생생히 얘기할 수 있을 때 소설을 쓰기 시작한다. 원한다면 4500쪽 분량의 소설 줄거리를 이틀에 걸쳐 들려줄 수 있다”고 했다. 언제든 쓸 수 있다는 얘기다. “다음달 민음사에서 나오는 여섯 권짜리 중단편 전집을 교정 보다가 ‘이만큼 썼으면 게을렀다는 소리는 안 듣겠구나’ 하고 생각했다”고 했다.

글=신준봉 기자 inform@joongang.co.kr
사진=권혁재 사진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