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장관 후보 가상 청문회 4. 김우식 과기 부총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7면

-황우석 교수 사태에 대해 정부 책임이 크다는 지적이다. 어떻게 책임질 것인가.

"노무현 대통령이 과학기술인 신년 인사회 때 이미 책임 부분에 대해 언급했다. 이 방침을 그대로 적용할 것이다. 책임질 사람을 분명하게 가려 책임을 묻되 주변에서 '열심히 연구한 죄'밖에 없는 사람은 더욱 열심히 연구에 매진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여론 재판에 따라 책임을 묻지 않을 것이다. 황 교수가 학자적 양심을 그렇게 무참히 버린 것은 정말 안타깝고, 이해도 되지 않는다."(동료 교수 A씨의 전언)

-대통령 비서실장 재직 때 황 교수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줬다는 말도 있다.

"황 교수의 연구 발표에 대해 온 국민이 열광할 때 많은 기대를 했던 것은 사실이다. 그때 황 교수가 잘되길 염원하지 않은 사람이 누가 있었겠는가. 그러나 청와대 비서실장이라는 자리가 행정적으로 황 교수를 직접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위치는 아니다."(지난해 말 기자와 전화 통화)

-황 교수 사태의 후유증을 앞으로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

"재발 방지를 위해 정부와 과학계 등 여러 분야가 교차 점검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 또 대학과 연구소 등 각각의 연구 기관이 그런 것을 제도화해야 한다. 과학자들에게 윤리 교육을 철저히 시킬 필요도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과학자들의 상식과 윤리의식이 밑바탕이 되지 않고서는 실효를 거두는 데 한계가 있다. 그렇게 각종 제도가 잘 마련돼 있는 미국에서도 연구성과 조작이 가끔 일어나지 않는가. (지인 B씨)"

-과학기술 정책의 일관성이 없다는데 어떻게 중심을 잡아 나갈 것이냐.

"참여 정부 이전까지는 산자부.정통부.보건복지부 등 연구개발 관련 부처에 연구비가 나눠져 있었다. 그러나 참여정부 들어 부총리 체제로 바뀌면서 국가 목표에 맞게 연구개발 예산을 과기부총리 책임하에 배분하고 조정할 수 있게 되는 등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 이를 더욱 공고히 하고 활성화하면 과학기술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 정치 변화에 따라 과기정책이 춤을 추지 않도록 중장기 계획과 전략하에 정책을 집행하는 체제가 마련돼야 한다."(동료 교수 C씨)

-우수 청소년들을 이공계로 끌어들일 수 있는 방안은 없나.

"우수 청소년이 이공계로 몰리지 않는 것은 이공계 출신의 역할과 노력에 비해 사회적 대우가 낮기 때문이다. 국가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인재를 길러내고 이들에게 응분의 보상을 해야 한다. 이제는 창의적 기술력이 국가발전의 원동력임을 인식하고 이를 키워나가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2005.3. 김우식 교수 정년기념 문집)

-과학기술계가 투자에 비해 효율이 낮다는 지적이 있다.

"연구의 속성상 공산품 찍어내듯 연구 성과를 대량생산해 내기는 어렵다. 인내를 가지고 지원하고 지켜봐줘야 한다. 과학자들로 하여금 창의적인 연구 성과를 내게 하려면 편안한 마음으로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연구 성과에 대한 평가가 엄정하게 해야 한다. 연구 책임자들이 연구비 따러 여기저기 기웃거리면서 언제 연구할 수 있겠는가. 이런 부분도 보완돼야 한다."(과기부 관계자)

박방주 과학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