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우리말 바루기] ‘있슴’이 아니라 ‘있음’입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8면

방송국에서 일하다 대학으로 자리를 옮긴 선배에게서 며칠 전 전화가 왔다. ‘-읍니다’ ‘-습니다’ 가운데 어떤 것이 맞느냐고 물었다. ‘-읍니다’가 ‘-습니다’로 바뀌었다고 하니 이건 쉽게 수긍을 했다. 문제는 ‘있음’과 ‘있슴’이었다. “‘-습니다’는 알겠는데 그럼 ‘있음’ ‘있슴’은 어떻게 되는 거야?”라고 다시 물어왔다. 명사형은 옛날처럼 그대로 ‘있음’을 쓴다고 답했지만 영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투였다. ‘있슴’이 아니냐고 몇 번을 되물었다.

 선배처럼 1989년 이전에 학교 교육을 마친 사람들이 자주 헷갈리는 부분이다. 이와 관련한 규정이 이때 바뀌었기 때문이다. 그 전에는 ‘-읍니다’와 ‘-습니다’를 함께 사용했다(‘-습니다’는 ‘-읍니다’보다 공손한 표현). 그러다 88년 ‘-읍니다’는 버리고 ‘-습니다’로만 쓰기로 표준어 규정이 바뀌었다(시행은 89년). 그 이전에는 대부분 ‘-읍니다’를 사용했다. 본인도 ‘-읍니다’로 배워 ‘-습니다’는 아직까지도 불편하다.

 바뀐 지 오래 되다 보니 그래도 ‘-습니다’는 이제 대체로 익숙해져 있는 편이다. 명사형이 문제다. ‘-습니다’로 바뀌었기 때문에 ‘있음’도 ‘있슴’으로 쓰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있습니다’이면 ‘있음’도 ‘있슴’이 돼야 하는 것이 일관성이 있어 보인다.

 하지만 ‘있음’은 예전 그대로다. 국립국어원의 설명에 따르면 ‘있음’의 ‘-음’은 ‘있습니다’의 ‘-습-’과 전혀 별개의 형태소라는 것이다. 명사형 어미 ‘-ㅁ’은 ‘있음’ ‘먹었음’ 등처럼 그 말이 명사 구실을 하도록 만드는 형태소인데, 자음 뒤에 붙을 때에는 소리를 고르기 위해 매개 모음 ‘-으-’를 넣어 ‘-음’으로 쓴다는 것이다. 따라서 ‘있슴’ ‘먹었슴’이 아니라 ‘있음’ ‘먹었음’으로 적어야 한다고 설명한다.

 문법적 설명이야 어찌됐든 ‘있습니다’이면 ‘있슴’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일반인들의 생각이다. 시간이 꽤 흘렀어도 선배처럼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다. 헷갈리지 않으려면 서술어는 ‘-습니다’, 명사형은 ‘-음’으로 서로 모양이 다르다고 기억하면 된다.

배상복 기자 sbbae@joongang.co.kr

▶ [우리말 바루기] 더 보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