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탄가스사고, 왜 못막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연탄가스로 인한 인명피해를 예방하는 방안으로 연탄가스 예방교육을 받지않은 온돌 시공자들은 일체 온돌공사를 하지못하도록 했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있는 9백87명의 온돌기능사 자격자들과 무면허 시공업자 1만여명에게 우선적으로 연탄가스예방교육을 실시했으며, 내년부터는 자격증이 없는 온돌시공자들은 일체 공사를 못하게 할 방침이다.
연탄가스사고의 원인이 대부분 온돌시공의 불완전에서 비롯된다는 점에서는 당초부터 시공자체를 완벽하게 하기 위한 사전교육은 어느 정도실효를 거두리란 생각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시공 후 관리나 일상적인 점검에 방심하거나 소홀해서는 결코 예방책에 만전을 기했다고는 볼수 없다. 시공자의 기술적인 완벽성도 중요하지만 사용자의 주의는 연탄가스 예방의 필수적인 요건이다.
아무리 온돌시공을 완벽하게 한다해도 우리의 가옥구조상 연탄아궁이와 침실이 밀폐가 불완전한 문으로 통해져 있을 때 이 문틀을 통한 가스의 유입은 막을수가 없다. 연탄연료 사용가구의 65.8%에 이르는 아궁이 가옥의 구조자체를 개조하여 새로 보완하는 전문적인 연구도 필요하다. 연탄보일러를 사용하는 가옥도 마찬가지다. 기압의 변화에 따라 굴뚝으로 빠져야할 가스가 방안으로 새어나와 침실로 침투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가스의 사신이 침입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철저히 점검하여 이를 사전에 막아내는 각 가정의 빈틈없는 예방책만이 연탄가스 사고를 없애는 최선의 방안이란 생각이다. 『설마 우리 방이야…』하는 안량한 방심이 항상 사고의 원인이었음을 연탄사용 가정에서는 명심하고 경계해야 만한다.
연탄가스 사고의 예방문제를 개인적인 노력에만 맡겨둘 수 없고 적극적으로 대응해야하는 이유는 가스의 피해가 너무 엄청난 규모로 사회문제화돼 있기 때문이다.
연탄은 53년 6.25이후부터 우리나라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 80년 말현재 전국 가구수의 71%가 연료로 사용하고 있는 대중 연료의 대명사이다. 따라서 가스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는 그 어떤 전염병의 피해보다 규모가 크다.
한 조사에 따르면 53년∼81년의 28년동안 연탄가스 중독자는 2백94만명에 이르렀고 6만명이 사망했다.
모 다른 조사결과를 보면 연탄가스 피해자는 전국적으로 연간 20만명에 이르며 이가운데 1천명에 가까운 인명이 사망하고 2만7천여명은 후유증으로 기억상실이나 신경장애를 일으켜 폐인이 된다고 한다.
이런 엄청난 피해가 계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국은 뚜렷한 사고예방법이나 대비책 하나 없이 사용자의 주의만을 바라는 소극적인 태도에 머물러 왔다. 고압산소치료기가 도입돼 있으나 서울을 비롯한 일부대도시에만 편중돼 있어 그 치료혜택을 입을 수 있는 범위가 극히 제한돼있는 실정이다. 그것도 사후치료 수단일 뿐 사전예방조처는 아니다.
정부와 학계 그리고 과학자들의 연탄가스사고 예방대책을 위한 적극적인 자세를 다시 한번 촉구한다. 현대의 첨예한 과학기술은 인공적인 생명의 합성에까지 이르고 있다. 과학자들의관심과 기술의 집중만있으면 연탄에서 발생하는 독소인 일산화탄소의 제거쯤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과학자들의 분발과 이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서는 가정연료의 전면적인 가스전환도 장기적으로는 추진돼야 한다. 부탄이나 LPG의 값싼 공급으로 가스연료의 대중화폭을 넓힘으로써 연탄을 가정에서 추방하여 공업연료로만 사용하도록 하는 것은 두말할 것도 없이 연탄사고의 비극을 영원히 우리사회에서 추방하는 근본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