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전교조는…] 1. 촌지 추방에서 반미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4월 전교조가 제주 4·3 사건 계기수업 때 칠판에 붙일 그림으로 제공한 그림 중 하나. 전교조는 교사들에게 "미 군정은 인민위원회를 눈엣가시처럼 여겼다"라는 설명을 그림 아래 붙여 수업을 하도록 안내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올해로 창립 16년째를 맞았다. 1989년 출범 이후 대량해직 등 우여곡절을 겪은 전교조는 1999년 합법화 된 이후 조합원이 10만명에 육박하는 거대조직으로 성장했다. 초기에는 학교내 촌지 추방 운동 등을 벌여 학생과 학부모로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반미(反美)’ 등 이념교육에 치중하고, 집단이익을 앞세운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전교조를 분석하는 시리즈를 시작한다.

2일 한나라당 의원총회에서 전여옥 대변인은 몇 점의 그림을 공개했다. 한 그림에서는 '와흘리 인민위원회'라고 쓰인 현판을 들고 있는 사람에게 주민들이 박수를 치고 있다. 전교조의 '제주 4.3사건 계기수업 자료'중 일부다. 그림 아래에는 '미 군정은 인민위원회를 눈엣가시처럼 여겼다'는 설명이 붙어 있다. 반미 감정을 자극하는 이 자료는 전교조 홈페이지(eduhope.net)에 올라 있다. 지금 많은 학부모는 학교 교실이 '이념 교육장'으로 변질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또 교원평가제 도입 반대 등 집단 행동에 대해 '집단 이기주의'라는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전교조의 출발은 이렇지 않았다. 전교조의 모태는 87년 창립된 민주교육추진전국교사협의회(전교협)다. 당시 교사들은 '참교육'의 깃발 아래 모여들었다. 참교육은 크게 ▶인간화 교육▶교육의 민주화▶민족 교육 등 세 가지를 지향했다. 전교협 창립 멤버인 정진곤 한양대 교수는 "당시 교사들은 아이에 대한 애정과 관심, 그리고 열심히 가르치겠다는 참교육의 근본 정신에 충실하려고 모인 것"이라며 "당연히 촌지도 안 받고, 때리지도 말고, 가르칠 내용을 제대로 가르치는 데만 집중하자고 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2년 뒤인 89년 거창고에서 열린 대의원 대회에서 2박3일간의 열띤 토론 끝에 전교협은 노동조합으로 전환할 것을 결정했다. 그해 5월 전교조가 출범했다. 이를 계기로 많은 교사가 떠났다. 정 교수도 그 중 하나다. 정 교수는 "조합은 교육운동 차원보다 조합원의 이익을 도모하는 데 치중하게 될 것을 우려했다"고 말했다. 그 후 남아 있던 교사들은 정부의 강경 대응으로 1511명이 해직되는 '탄압'을 겪으면서 '투쟁'을 계속해 왔다. 그러다 김대중 정부 시절인 99년 7월 노조 설립 신고증을 받았다. 합법화된 것이다.

전교조는 합법화 이후 급속하게 세를 불려나갔다. 현재 조합원 수가 9만5000여 명(회비 납부자 기준 8만4470여 명)에 이른다. 전체 교사(38만389명) 네 명 중 한 명꼴로 전교조 교사인 셈이다. 전국 1만600여 개 학교 중 81%인 8684개 초.중.고교에 전교조 분회가 설치돼 있다. 전교조의 영향이 커지면서 교사 성과급 지급, 교원 평가 등 전교조의 반대로 차질을 빚은 교육정책도 한둘이 아니다. 물론 전교조가 부패 사학을 견제하고 투명성 바람을 일으키는 등 긍정적으로 기여한 측면도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이념에 치우친 계기수업(공동수업)과 극단적인 투쟁으로 반감과 우려를 사기도 했다. 지난해 6월 이라크전 당시 파병 반대를 강조한 '반미'계기수업이 대표적이다. 전교조가 지난해 6월 이라크전을 계기로 만든 '반전 평화 수업자료'는 "파병 반대쪽의 일방적인 입장을 담았다"는 이유로 '수업'이라기보다 일종의 '교화'라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이에 대해 전교조 한만중 대변인은 "특정 세력에 의해 기득권이 유지되는 교육에 반기를 들고, 국민 다수가 보편적인 권리로 교육을 누리게 하기 위해 전교조가 존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별취재팀=김남중.강홍준.고정애.한애란 기자

전교조 "교원평가 반대" 12일 연가 투쟁

전교조는 교원평가제 시행에 반대해 7~10일 조합원 투표를 거쳐 12일 서울에서 연가 투쟁을 벌이겠다고 발표했다. 평가제 시행을 위한 정부와 교원 및 학부모 단체 간 실무 협상이 결렬된 데 따른 것이다. 연가투쟁이란 교원이 법으로 보장된 연가를 내고, 집회 등을 하는 것이다. 전교조는 2000년 이후 여섯 차례 연가투쟁을 벌였다. 교육부와 교원 단체, 학부모 단체 등으로 구성된 학교 교육력 제고 특별 협의회는 1일 저녁 교원평가제 도입 방안 등을 논의했으나 시범 실시 등에 대한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강홍준 기자

'지금 전교조는' 토론방 joongang.co.kr서 운영[토론방 가기]

'지금 전교조는' 시리즈와 관련해 중앙일보는 인터넷 중앙일보(www.joongang.co.kr)에 토론방을 운영합니다. 본사 사이트 우측의 '디지털 국회'(www.joongang.co.kr/assembly) 내 교육문화마당에 토론 글을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