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수출 힘들어졌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코트라(KOTRA) 테헤란 무역관은 이란 상무부가 17일부터 일부 한국산 상품에 대한 수입 견적송장(PI) 승인을 거부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PI 승인이 없을 경우 신용장 개설이 어려워 수출에 타격이 예상된다. PI는 수출자와 수입자가 최종적으로 가격과 조건을 명시하는 송장으로 계약서 역할을 한다.

이란의 이 같은 조치는 지난달 한국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이란 핵사찰 결의안에 찬성한 데 따른 보복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아흐마디 네자디 이란 대통령은 최근 임홍제 주 이란 대사의 신임장 제정을 받는 자리에서 "이란은 지난달 한국의 지원이 필요했다. 이란과 가깝지 않은 나라도 IAEA에서 기권표를 던졌다"고 말한 것으로 현지 언론은 보도했다. 한국 등 22개국은 지난달 이란 핵사찰 결의안 투표에서 찬성표를 던졌고 한국 이외에도 영국.아르헨티나.체코 등 4개국이 이번 조치의 대상국에 포함됐다. 배창헌 테헤란 무역관장은 "이란 상무부로부터 '당분간 산업용 원.부자재는 무조건 수입허가 하되 사치품과 같은 물품은 특별위원회에서 심사를 거쳐 판단하겠다'는 비공식 통보를 받았다"며 "이미 승인을 받은 건은 이번 조치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나 외교부 당국자는 "현재까지 이란 정부가 공식적으로 우리정부에 통보해온 내용은 없다"고 말했다.주한 이란대사관 관계자도 "본국 외무부에 확인해 보니 특정나라에 금수조치를 취한 적은 없다. 다만 몇몇 제품의 제품 수준이 떨어져 수입 허가를 내주지 않은 것이 와전된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해 우리나라는 이란에 21억3431만달러 어치를 수출했다.

이철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