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담화에 침략의 죄행 반성하는 내용 담아야"

중앙일보

입력

중국 정부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올해 패전일(8월 15일) 무렵에 발표할 담화에 침략의 과거사를 반성하는 내용을 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6일 정례브리핑에서 "세계 반(反)파시스트 전쟁 및 중국인의 항일전쟁 승리 70주년인 올해는 역사를 총정리하고 미래의 발전 계획을 세우는 매우 중요한 해"라며 "우리는 일본 정부와 지도자가 과거의 침략 역사에 대해 어떤 태도로, 어떤 메시지를 밝힐 것인지 매우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이 침략의 역사를 미화해 부채를 계속 짊어지고 갈 것인지 진정으로 침략의 죄행을 깊이 반성해 걸음을 가볍게 할 것인지를 주시하고 있다"며 국제사회가 일본의 과거사 반성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고 강조했다.

화 대변인은 "우리는 일본이 역사 문제에 대한 기존의 태도와 약속을 준수하기를 진정으로 희망한다"며 일본이 실제 행동을 통해 ^평화와 발전의 길을 걷고 ^역사발전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함으로써 국제사회의 신임을 얻고 ^지역과 세계평화·안정을 위해 적극적이고 건설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했다.

아베 총리는 최근 일본 NHK와의 인터뷰에서 패전일 무렵에 발표할 담화(아베 담화)에 무라야마(村山)담화의 핵심 단어를 그대로 쓰지 않겠다고 밝혔다.

일본 언론들은 과거사의 잘못을 적시하지 않으려는 아베 담화 구상에 문제를 제기했다. 아사히(朝日)신문은 27일 사설에서 "식민 지배나 침략이라는 앞선 일본의 행위를 명확하게 인정하지 않으면 무라야마 담화를 계승한 것이 아니다"며 “아베 총리가 역내 내각의 담화를 계승한다고 했으면서도 핵심 표현을 이어받는 데 부정적으로 반응한 것은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마이니치(每日)신문은 “일본의 침략전쟁과 식민지배를 사죄한 무라야마 담화가 국제 사회에서 일본의 자세를 설명하는 외교적 자산이었다”며 "핵심 단어를 뺀 (전후 70년) 담화는 국제사회와의 관계를 해칠 수 있다"고 문제 제기했다.

정재홍 기자 hongj@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