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콩껍질에 비만, 지방간 막는 성분 '듬뿍'

중앙일보

입력

  땅콩껍질에 많이 들어있는 성분이 비만ㆍ지방간을 막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효과적인 추출기술만 확보되면 저렴한 건강기능식품을 만들 수 있는 있을 전망이다.

경북대 식품영양학과 최명숙 교수 연구팀은 천연 색소화합물(플라보노이드)인 루테올린이 체중 감소와 지방간ㆍ인슐린저항성 개선 등에 효과를 보였다고 19일 밝혔다. 루테올린은 파슬리ㆍ샐러리 같은 허브과 식물에 많이 함유된 성분이다. 특히 땅콩 껍질에 가장 많이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앞서 항암ㆍ항염증 효능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지만 지방간 등을 막는 역할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루테올린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약 16주 동안 비만 쥐에게 0.005%의 루테올린과 고지방 사료를 함께 먹였다. 그 결과 루테올린을 먹은 쥐는 그렇지 않은 쥐에 비해 체중이 약 16%, 전체 지방량이 약 31% 줄었다. 지방간과 내당능장애도 약 15% 개선됐다.

연구팀은 “루테올린이 지방세포의 형성ㆍ분화를 담당하는 단백질(PPARγ)의 발현을 조절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PPARγ는 당뇨병 치료에 표적으로 쓰이는 단백질이다. 하지만 이 단백질이 과다발현되면 비만과 지방간 등 부작용이 생긴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을 루테올린에서 찾아낸 것이다.

연구팀은 “특이한 독성이나 부작용도 발견되지 않았다”며 “새로운 당뇨예방ㆍ체중조절 식품으로 개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김한별 기자 idsta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