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3%의 GNP 성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올해 1·4분기 중 국민총생산(GNP)이 9.3%의 높은 성장율을 보여준 것은 경제활동이 점차 활발해지고 있음을 말해준다.
1·4분기 GNP의 주요지표를 분석하면 내수부문의 착실한 확대를 통해 성장이 주도되고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9.3%의 성장은 광공업과 사회간접자본의 괄목할 만한 성장에 힘입고 있다.
이는 기계시설과 건설부문의 투자가 현저하게 늘어났다는 사실이 뒷받침하고 있다.
이와 함께 소비지출도 6.8%가 증가하여 내수부문의 경기회복을 이끌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경기상승에 가세해야 할 수출부문은 아직 만족할만한 상태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수출증가율은 4.6%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8.8%를 밑돈다.
다만 내수회복을 반영, 수입은 14.7%가 증가하여 작년 같은 기간의 1.9%를 훨씬 상회한다.
따라서 앞으로의 경제운용은 해외시장의 여건변화에 맞추어 수출을 늘리는 데로 힘써야 한다.
GNP 지표상으로 보면 국내경제는 3년여에 걸친 경기침체를 벗어나 회복단계에 들어선 것이 확실하다.
그것도 종래의 수출증가→내수회복이라는 패턴이 아니라 내수가 먼저 살아났다는데 특징이 있다.
내수기반에 바탕을 둔 수출증가가 바람직한 경기의 모형이 되어야 한다는 논리에 비추어 매우 고무적인 경기회복 과정이다.
이러한 경기회복이 지속적으로 확산되려면 이제부터는 수출의 회복이 나타나야 한다.
수출은 해외경기 동향에 영향을 받는 것이지만 미국을 비롯한 주요 해외시장의 경기가 회복되고 있는 만큼 적극적인 수출 드라이브 정책의 전개가 요청된다.
비단 국제수지의 개선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경기측면에서도 수출증가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내수와 수출이 상승작용을 해나간다면 올해 안에 국내경기는 호황으로 변모할 가능성이 있다.
경기 상승기에 우려되는 것은 물가의 움직임일 것이나 원유가의 안정 등 긍정적인 요인 등이 많아 인플레이션이 재연될 것 같지는 않다.
원유를 제외한 주요 원자재가가 상승하고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충격은 불가피할지 모른다.
이를 흡수할 수출상품의 가격조건 개선책 등 대응책이 요망된다.
일반적으로 경기회복에 따른 인플레이션의 위협을 고려, 긴축통화 정책을 주장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정부도 통화의 타이트한 운용을 내세우고 있으나, 현재의 전반적인 경제활동 상황을 평가할 때, 지나친 긴축이 반드시 유효한가는 검토를 요하는 사안이다.
이 경우 적정통화 규모의 문제가 제기되는데, 올해의 성장추세, 물가 자극요인, 수출입 규모의 증가 등 여러 가지 변수를 예측하여 탄력적인 통화 운용을 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통화정책을 인플레이션 대책적으로만 편향할 것이 아니라 경기 대책적으로도 평가하자는 것이다.
우리의 통화정책은 안정성장에 부응하여 중·장기적으로는 공급을 신중하게 해나가는 것이 골격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물가안정으로 창출되는 실질 구매력으로 경기를 지탱해 나가야 한다.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정상적인 금융의 파이프가 넓게 열려 있지 않으므로 이 점을 보완하는 통화조절이 병행되어야 한다.
상업어음 할인 확대, 사상발행 시장의 문호개방 등 제2금융권의 활용이 미흡한 터에 급격한 통화 수축을 강행한다면 경기회복은 예상보다 지연될 위험이 있다.
1·4분기 GNP 동향은 상충되는 정책수단의 적절한 배합을 요구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