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베이트 꼼수' 한국오츠카제약 5억여원 세금소송 패소

중앙일보

입력

설문조사 참여 의사에게 금품을 주는 방식으로 리베이트를 지급하다 적발돼 추가 세금을 내게된 제약회사가 이를 취소해달라며 소송을 냈지만 패소했다.

서울행정법원 행정6부(부장 함상훈)는 한국오츠카제약 주식회사가 "법인세와 부가가치세 부과처분을 취소해달라"며 역삼세무서장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세금 부과는 적법하다"고 판결했다고 6일 밝혔다.

한국오츠카는 지난 2010년 1~3월 자사 의약품인 '프레탈'과 '무코스타'에 관한 시장조사를 실시했다. 용역계약을 맺은 M사 등을 통해 의사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면서 응답자에게 5만원씩 지급했다. 한달동안 설문조사 응답 의사 858명에게 총 13억여원을 지출했다. 이후 한국오츠카는 13억여원을 비용처리한 후 2010년 1분기 부가가치세 및 2010년 사업연도 법인세를 신고해 세금을 줄였다.

한국오츠카의 '꼼수'는 감사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서 부당한 리베이트를 제공한 것으로 적발된 업체를 국세청에 통보하면서 드러났다. 역삼세무서는 2013년 1월부터 약 한 달간 세무조사를 실시해 설문조사 비용은 '접대비'라고 판단했다. 이를 근거로 부가가치세 1억8000여만원, 법인세 3억8000여만원 등 총 5억6000여만원의 세금을 부과했다.이에 한국오츠카는 “의약품의 효능·효과 추가를 위한 의학적 정보수집을 하고 대가를 치른 것으로 접대비가 아니다”라며 소송을 냈다.

재판부는 한국오츠카의 설문조사에 응하고 준 돈은 리베이트였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시장조사였다면 설문업체에서 대상자를 선정하고 대상자는 설문 주최자를 몰라야 하는데 이 경우 한국오츠카의 영업사원이 직접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어떤 기업인지 의사들에게 알렸다"며 "설문이 완료되기 전 미리 대가를 지급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또 재판부는 "당시 해당 업무를 담당한 M사 대표이사 등이 약사법위반 혐의로 기소돼 '판매 촉진의 목적으로 진행됐다'고 자백했다"며 "의약품 판매 촉진 등 목적으로 약학조사 형식을 이용해 리베이트를 지급했다"고 판단했다.

노진호 기자 yesn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