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 문화연의 본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한국 정신 문화 연구원의 수뇌진이 교체되고 아울러 기구자체가 개편되었다.
그같은 변화는 일상적이기보다는 어느 의미에서 근본적인 것이기 때문에 학계 안팎에 적지 않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 변화는 우선 정신문화 연구원 인사의 난항을 생각게 한다.
78년 6월에 발족한 이래 벌써 네번째 원장을 맞고 있지만 그동안 누구도 3년의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물러나야 했다.
그같은 단기제로서는 국가가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서 만들어 놓은 대표적 「인간 사회과학 아카데미」의 기능이 순조로울 수가 없을 것이다.
인사난맥은 또 정문연 기능의 문제들을 낳았다.
연구원 수뇌부간의 갈등과 운영방향의 혼미가 지금까지 계속되었으며 그로 해서 인맥과 파벌을 이용한 학문외적인 줄타기 다툼도 심화되었던 것이다.
그같은 상황 속에서 정신문화 연구원이 올바른 연구태세를 갖추고 국민의 기대만큼 연구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궁금하다.
사실상 정신문화 연구원은 내부적인 불협화와 부정견의 소용돌이 속에서 유명무실한 문화유물화의 길을 걷고있는 느낌이 짙다.
인사문제가 그렇거니와 벌써 다섯 차례의 개편을 겪고 있는 기구 구성 문제도 심각하다. 세태의 흐름 속에 정책의 입김에 따라 적당히 늘리고 줄인 기구들이 무시로 증감·명감하여 왔다.
그러나 가장 주요한 문제는 정신문화 연구원의 기본성격과 진로다.
발족당시 그것은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대규모 국학 연구의 본산을 지향했었다.
그러나 그 발족당시의 지향은 세월이 흐르고 정권이 바뀜에 따라 그때그때 변화를 겪고 있다.
심각한 학계의 논의까지 불러일으켰던 그 기본성격 문제는 결국 작년 6월 정재학 원장의 취임과 함께「정책연구기관」으로 일변했던 것이다.
그 변화는 지금 유승국 원장 체제가 지향하는「국민전신 교육기관」화로 한 걸음 더 나아가고 있다.
그런 성격변화의 명분은 대체로 우려가 처한 입장이 특수하고 우려의 현실적 당면과제가 급박하기 때문에 기초적인 학문연구보다는 국민 정신교육에 치중하는 것이 정당하다는 견해다.
그러나 그같은 명분엔 매우 위험한 일면이 있다.
현실의 문제에 집착하고 국가의 정책적 필요에 대응하는 연구와 교육 기능에 충실한다는 것은 어느 의미에서 학문본연의 객관성과 엄정성을 훼손하기 쉽기 때문이다.
비록 세파의 필요에 응한 연구·교육기능이 아니고 나라의 장래, 민족의 미래를 위한 국가 목표를 내세우는 경우에도 그것은 지나치게 단견적이고「이념화」의 도구가 되기 쉽다.
우리가 흔히 내세우는 민족주의, 민족정신도 때에 따라선 자유로운 해석과 획일적이고 병적인 국수주의화로 왜곡될 위험조차 있다.
또 따지고 보면 우리 사회에서 흔히 분별없이 사용되고 있는「국민 교육」이란 용어도 자유 민주주의 정신에 위배되는 사고의 소산일 수도 있다.
그런 의미에서 정신문화 연구원은 하나의 분명한 지향점을 갖지 않으면 안되겠다. 그것은 원대한 민족문화 창달과 민족정신 문화의 계발·연구라는 불변의 목표다.
그런 목표는 용어의 왜곡된 적용으로 훼손되어서도 안되고 시류의 요청에 따라 흔들려도 안되겠다.
더우기「민족」을 내세워 민족영원의 정신가치와 민족의 위신을 손상하는 일도 있어서는 안되겠다.
그것은 바로 학문 연구가 영원성과 지속성을 가지고 세파에 초연할 수 있을 때 더욱 굵고 알차게 결실할 수 있음과 일맥상통한다.
국민 정신 교육도 중요하고 당면한 현실 적응의 정책연구도 필요하지만 기초 학문의 연구는 더욱 중요한 것이다.
학문은 결코 학문자체만으로 존립하는 것이 아니다. 당장 실용성이 없다고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대국적으로 보면 편향과 변질로 얼룩진 일시적 연구성과 보다는 ??원하고 무의미한 것처럼 보이는 기초 학문의 연구는 더욱 값진 것이 될 것이다.
한국정신 문화 연구원은 지금 그 본래성을 회복하는 것이 급무가 되고 있다. 아카데미즘의 기본 정신 아래서 역사와 민족의 기대에 배반하는 일이 없어야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