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강개발 졸속은 없는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버려진 한강을 「물의 공원」으로 탈바꿈하려는 노력은 서울시장이 바뀔때마다 있었다.
60년대에 모래섬 여의도가 수중제로 둘러싸여 수중도시로 개발됐고 70년대엔 해마다 물난리를 겪던 잠실이 거대한 강남도심권으로 탈바꿈했다.
3년전 80년대에 들어서는 『맑고 깨끗한 푸른 한강을 가꾸자』는 캐치프레이즈 아래 한강보전위원회가 구성돼 강변호안공사와 도로를 닦고 고수부지에 체육공원을 만들어 시민의 휴식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번에는 서울한강수계에 저수로를 만들어 유람선이 오르내리는 한강운하를 개발하고 탄천등 4대 지류에 하수종말처리시설을 갖추어 한강에 물고기가 뛰놀 수 있는 물의 공원을 만든다고 한다.
그러나 지난20년동안 서울시가 추진해온 한강개발은 거창한 출발에 비해 구체적인 실천을 못본채 끝나곤 했다.
그럴수밖에 없었던 것은 한강개발이 의욕만으로는 어쩔수 없는 방대한 사업이기 때문이다.
한강개발은 한강수계의 전체적인 이용이란 측면과 생태계와 자연환경을 감안한 계획이 모두 만족하는 방향에서 개발돼야한다. 그것이 모든 개발의 기본이요, 원리다.
하천개발은 어디까지나 치수와 이수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 절대요건이다. 따라서 졸속과 편견은 금물이다.
때문에 전문가들이 물줄기를 바꾸고 강바닥을 파내는 자연환경의 바꿈이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한강모형을 만들어 수리시험을 하고 있으며 이 시험이 미처 끝나지 않았는데도 성급히 개발계획을 내세우고 삽질을 하는 것을 보면서 지난날 수없이 보아왔던 전시행정이 아니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더우기 이 개발사업에는 총3천4백83억원의 방대한 사업비가 필요하며 이 사업비를 강바닥에서 파낸 모래·자갈을 팔거나 하수도사용료를 받아 충당하려하고 있다.
79년부터 4년째 계속된 건축불경기로 모래·자갈이 건축자재로 팔리지 않을 경우 한강개발은 60, 70년대 한강개발사업처럼 흐지부지 될 것이 아닌지 걱정스럽다. 하수도사용료도 서민가계를 압박하기 때문에 징수에 부작용이 없어야겠다. 한강을 되살리는데 반대하는 시민은 없다.
그러나 이 엄청난 사업계획을 불과 6개월만에 세우고 구체적인 기술문제는 사업을 추진해가면서 그때그때 마련해가겠다는 서울시장의 말은 어쩐지 밈음직스럽지 못하게 느껴진다. <이두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