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후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금주엔 태깥깔 벗은 작품이 많았다. 우리가 항용 새롭다는 말을 자주 쓰고 있다. 시조(시)에서의 새로움이란 상의 새로움, 즉 보는 시각의 새로움이지 결코 생경하고 이상한 단어의 나열이 아니다. 그러니 이같은 이미지의 새로움에다 언어는 항시 쉬운 언어를 골라 써야하다.
일상용어, 생활언어를 골라 써야만 생기와 공감을 얻을 수 있는 법이다. 어느 시조지망생은 사전에서 이상한 단어만 메모해 두었다가 이를 엮어 시조를 빚는다고 들은적도 있다. 그러니 이같은 시조는 이상하게 되알지고 술술 풀리지 않는 시조가 되기 마련이다. 그런 의미에서 「산정」의 작자는 이런것을 잘 체득하고 극복한 작자이기도하다.
「산정」 은 자연을 보는 눈이 무척 자연스럽다. 사물을 관찰하는 눈이 슬기롭다. <나무숲가지 사이로 일렁이는 빛살무늬><울림도 되돌아 오는 깊은 산의 숨소리>등 쉬우면서 번쩍이는 종구.
「아침」은 두수 l편중 둘째수가 훨씬 돋보인다. 이는 첫 수의 종장이 안이하기 때문. 대조하여 곰곰 새겨보시길.
「가울산조」 에선 가을밤의 정취가 물씬 풍긴다. 짙은 진실이 배어있기 때문. <테메듯 수를 끼고서 다퉈 놓는 가을정취>가 그러하다.
「허수아비」 는 흔한 소재를 단수로서 갈 살리고 있다. <만 가을 참새 깃소리 두귀 쫑긋세운다>에서 성공의 묘를 얻었다.
「묵을 가는 마음」 은 불구를 딛고 얼어선 선비정신이 먹물에 진하게 배어있다. 결의같은게 비치는데 좀 유연했으면…. 「아가의 웃음」엔 따뜻한 귀여움이 감도는 시조다. 조금 긴박감을 넣도록 했으니 참고하시도록. 이 단수의 종장에선 이같이 풀어주는게 제격.
「갈대」 에선 갈대꽃을 흰 옷고름에 비긴 점은 무척 새롭게 느낄 수가 있었다.

<정든이 떠나보낸 길녘에 들키고 만 흰옷고름>의 결구는 그래그런지 재치가 있어뵌다.「난을 보며」 는 난을 대하듯 정갈한 맛이 감도는 시조, 시조밖의 분위기마저 잡히기도 하는 시조다.
다만 종장에서 기교를 보다 가미했더면 하는 아쉬움.
「석류」 는 이듬이 자연스럽다. <휜 어금니 내민 석류>와 같은 귀절이 새롭다.
종장은 새롭지는 않지만 안정감이 좋았고-. 이상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