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 땐 은행 손실 우려 … LTV 70% 채워 구입한 주택, 경매 땐 집값 70% 안 될 수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주택담보대출이 정부의 의도와 달리 주택 구입외 목적으로 사용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나타면서 은행 건전성 관리에는 비상이 걸렸다. 갑자기 세계 금융위기 같은 외부충격이 오면 주택담보대출발(發) 신용경색이 일어날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런 우려는 최경환 경제팀이 주택 거래 활성화를 위한 핵심 정책카드로 LTV·DTI를 대폭 완화할 때만 해도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한도를 높여주면 주택 거래가 활성화되고 집값이 올라 문제 될 게 없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최근 집값 상승세가 오락가락하면서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은행 LTV를 50~60%→70%로 늘린 만큼 집값이 안 오르면 다시 후유증을 걱정해야 한다. 서울 강남의 10억원짜리 주택은 규제 완화로 최대 2억원을 더 빌릴 수 있다. 70% 한도를 꽉 채우면 대출 한도는 최대 7억원까지 늘어난다.

 위험은 이 부분에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김영일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대책 이전에는 집값이 아무리 떨어져도 60% 아래로 내려갈 가능성은 크지 않았지만, 상황에 따라 70%까지 하락하는 경우는 전혀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집이 경매로 넘어갈 경우 일반적으로 70% 가격에서 낙찰되는 경우가 많다는 이유에서다. 최근 경매가가 상승 추세에 있지만 경기침체가 계속되면 언제든 다시 내려갈 수 있다. 김영일 연구위원은 “경기가 살아나지 않고, 중국의 부동산시장 폭락 같은 외부충격이 발생하면 경매가가 시세 대비 65%로 내려간다는 최악의 상황도 피할 수 없다”고 말했다. 경매로 넘어간 집값이 시가 10억원에서 6억5000만원에 팔린다면 은행이 5000만원 손해본다는 의미다.

 주택 거래 활성화 대책이 나오긴 전인 6월까지는 은행권의 LTV가 60%를 넘지 않았다. 앞으로는 대출이 늘면서 70%를 채운 가구의 비율이 늘어날 수 있다. 과거에는 문제가 생겨도 은행 손실로 전가될 가능성이 적었지만 앞으로 2~3년 후 은행의 위험 노출이 커질 수밖에 없다. 과거 김대중 정부의 카드버블이 노무현 정부에 부담을 준 것처런 집값이 둔화되면 다음 정부는 은행 건전성 문제에 직면할 수도 있다. 홍종학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LTV·DTI 동시적용 주택담보대출 잔액 현황’을 봐도 부실위험은 커지고 있다. 이미 대출규제 완화 정책이 시행되기 전인 올 상반기 기준으로 LTV가 60%를 초과하거나 DTI가 50%를 초과하는 ‘위험한 대출’은 30조7000억원에 달했다. 더구나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내년 중반쯤 금리를 인상할 경우 주택담보대출은 금리 인상 태풍에서도 벗어나기 어렵다.

김동호 선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