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비즈 칼럼

인테리어 아무데나 맡기시나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5면

김주만
(사)대한전문건설협회
실내건축공사업협의회 회장

세월호 사고로 촉발된 우리 사회 전반의 ‘안전’ 관련 적신호가 켜졌다. 안전사고는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 관리를 통해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건물 골조가 세워진 후 시작되는 실내건축공사(인테리어공사)의 경우 공사기간이 건축공사보다 더 짧다. 현장에 따라서는 영업시간을 피해 늦은 밤과 새벽녘에 진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늘 안전사고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실내건축공사를 함에 있어 국가가 법으로 일정 자격요건을 갖춰 면허를 발급받도록 한 것은 무자격·무면허 업체들의 난립으로 인해 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안전사고나 준공 후 사용과정에서 야기되는 각종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조치라 할 수 있다. 현행 건설관련법에서 실내건축공사는 1500만원 미만의 경우 해당면허 없이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이상의 공사를 건설업 등록없이 할 경우 법의 제재를 받게 된다. 그러나 안전사고는 공사규모로 경계지울 수 있는 게 아니라 생각한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민원을 고려할 때 ‘건설업 (실내건축공사업면허를 보유한) 유자격자만 실내건축공사를 시공토록 제도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의견을 개진한 바 있다. 건축 관련 민원 중 ‘인테리어·리모델링’ 공사 관련이 가장 많고, 피해보상도 적절히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건설업 무등록업체의 경우 시공 상 하자에 대한 사후보증 관련 보호장치가 미흡할뿐 아니라 자칫 생명과 직결되는 안전사고 발생 시 그 피해가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돌아간다. 따라서 실내건축공사를 위해 업체를 선정하고자 한다면 건설관련법령에서 규정하는 요건을 갖춘 면허업체인지를 따져봐야 한다. 그 회사가 ‘건축업등록증’과 ‘건축업수첩’을 갖고 있고, 거기에 등록한 건설업종이 실내건축공사업이라면 최소한 그 업을 영위할 자격요건을 갖춘 업체라 할 수 있다. 이것이 ‘건설업 면허등록’ 여부의 확인을 강조하는 이유다. 물론 선택은 소비자의 몫이다.

김주만 (사)대한전문건설협회 실내건축공사업협의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