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일정율의 무차별 적용은 비현실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한마디로 교육의 문제가 아닌 사회문제를 애꿎은 대학이 몽땅 떠맡은 격』이라는 어느 대학교수의 말처럼 「넓혀진 대학문」다음에 올 여러가지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하는것이 심각한 과제로 남는다.
어떻게하면 효과적이고 충실한 교육을 실시할수 있으며 또 대학 본래의 기능인 학문연구의 본산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느냐의 문제를 두고 대학은 고민하는것이다.
서울대 이돈희교수(교육학) 는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은 충분한 교수요원 확보와 시설확충』이라고 말한다. 부족하나마 현실적으르 해결할수있는 방법으로 해외두뇌유치·국내전문연구기관의 지윈등을 생각할수 있으나, 이경우 자격기준설정에있어 특히신중을 기해야할 것이라는 얘기다.
또다른 방법으로 이교수는 학부·대학원의 통합 운영에 의한 교수요원의 효율적 활용,그리고「티칭·어시스턴트」제를 도입하여 대학원 상급과정에있는 학생들을 조교로 채용, 저학년 기초교양과목에 한해서 강의를 맡기는 방법을 들었다. 이럴 경우 장래의 교수를 미리 훈련시키고, 교수의 과도한 수업부담및 학사업무를덜어주며, 대학원생들에게 학비에 필요한 경제적 지원을 해주는 3중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교수요원 확보와 함께 중요한 문제는 부족한 학교시설의 확충문제.
고려대 유인종교수(교육학)는 현재 우리나라 대학의·강의실 이용율은 평균 40%선으로 전일제 운영등으로「풀」가동할 경우 7O%선까지는 올릴 수 있어서 강의실 확보 문제는 그다지 어렵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유교수는 고정된 강의실 벽을 개조하여 강의실 크기를 학생수에 따라 수시로 조정할수 있도록하는 방법, 그리고 특히 이공계는 실험실을 각과별로 분산식·독립식으로 운영하는것을 지양, 실험주제별로 중앙에서 통제하는「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등도 고려돼야 할것이라고 말한다.
대학생의 증원과 함께 우려되는 문체로 대학의 질저하 문제에 대해 서울대의 차경수교수 (교육학) 는 우리의 교육이 고등인력의 양산체제를 지향하는한 종래의 소수정예 주의는 더이싱 발붙일 수 없게됐지만 엄격한 학사관리를 통한 졸업정원제 유지, 그리고 교수·학생들의 노력으로 어느정도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조치의 주요 골자인 졸업정원제 운용에 있어서는 현실적으로 엄연히 존재하는 각 대학간의 학교차를 고려하지 않고 일정율을 일률적으로 적용, 중도 탈락시키는 것보다 객관적 학력평가에 따른 합리적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는 차교수의 얘기다.
또 중도 탈락한 학생들이 자기 능력에따라 타대학으로 편입할수 있는길을 마련하는 조치도 합께 따라야할 것이라고 덧 붙였다.
졸업생들의 사회진출 문제도 간과할 수 없다. 정부가 국가적 「레벨」에서 인력수급의 면을 충분히 고려했다고 하지만 전문가들에 따르면 앞으로 10년,20년의 인력수요률 정확히 판단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이번 조치가 고급인력의 무계획한 양산에 그칠 경우 그후에 닥칠문제는 더욱 심각하리라는 것이다.
차교수는『우리는 이미 50년대말과-60년대초 고급인력의 사회적 수용체제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고등실업자를 양산했던 경험이 있다』 고말하면서, 『국가적 차원에서 착실한 고동인력수급체제를 갖추는 조치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고 덧붙였다.<정자양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