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제품값 곧 재조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3월7일 석유가·전기료의 인상조치후 일반의 심리적 불안과 「인플레」심리유발을 우려하여 일단 현실화 조치를 보류하고 3·4분기로 숙제를 미루었던 당국의 물가정책은 이번 원유가 조기인상으로 다시 시련을 맞게 됐다.
정부는 지난번 유가인상때 국제원유가가 당초 「스케줄」대로 4월과 6월, 10월 3차례로 나누어 전체적으로 14.5%(연평균10%)를 인상한다는 전제아래 이같은 인장요인과 시차를 모두 감안하여 가격조정을 실시했다.
이렇게하여 정유희사는 상반기중에 초과리윤을 보고 하반기에는 적자를 보게 되나 상반기에 생긴 초과이윤으로 적자를 보전토록 한다는 계산이다.
그러나 이번 원유가의 조기인상으로 이같은 전제가 무너졌으며 석유값의 재조정이 불가피하게 됐다. 인상시기단축에 따른 부담증가액은 5천만「달러」에 달한다. 그러나 3월7일의 석유가인상이 연간 14.5%의 원유가인상을 전제로 한만큼 단시일내의 유가인상조치는 필요없다는 당국사의 설명이다. 정부는 1· 4분기 중의 물가현실화조치 충격을 줄이기 위해 3·7석유가인상에도 불구하고 석유화학관련 제품값을 비롯, 교통요금·일부 비철금속제품값인상을 눌러놓고 있다.
원유가인상으로 석유가는물론, 이같은 누적된 품목의 인상을 단시일내에 현실화시키지 않을 수 없는만큼 물가에 주는 충격은 그만큼 더 커질 것이고 서민의 가계는 더 쪼들리지 않을 수 없게 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