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동맹 친한권」 형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아프리카」·중동지역 비동맹중립국에 대한「친한비동맹권」 형성 정책을 밀고나갈 방침이다.
이와 같은 방침은 5일부터 열리고 있는 아·중동공관회의에서 집중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유엔」에서의 한국문제 토의지양을 항구화한다는 외교기조에 바탕을 두고있다.
정부소식통은 6일 『「유엔」에서 한국문제가 부상정된 이래 남북한의 외교각축은 비동맹권을 중심으로 이루어 지고있다』고 밝히고 『금년에도 비동맹조정국외상회의(6월「스리랑카」)와 비동맹정상회담(9월「쿠바」)을 겨냥한 북괴의 외교공세가 예상되며 이에 대응하기위해 「친한비동맹권」 형성정책이 추진될 것』 이라고 밝혔다.
소식통은 『일단 우리의 대비동맹권외교강화 노력은「나이지리아」 「이집트」「모로코」「트고」 등 4개국과 연내에 외교관계를 수립하고 「쿠웨이트」·北「예멘」등 8개국과 수교를 추진할 것이며 비동맹권내 21개국에 2백만 「달러」의 무상원조제공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정부는 대한지지기반확충뿐아니라 자원의 장기확보란 점에서 종합상사중심의 한아친선협회를 결성, 대 「아프리카」 외교의 창구역할을 하도록 할 것이며 「상고르」 「세네갈」대통령,「모부투」 「자이레」 대통령 등 4명 (「리베리아」 「수단」)의 국가원수를 초청, 유대를 강화 할 예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