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거민 이주에 차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서울시는 무허가건물 철거민들의 이주를 위해 선대책 후철거원칙 아래 올해 5천여 가구분의 시영 「아파트」를 짓기로 하고 같은 수의 무허가 건물을 철거키로 했으나 아직까지 절반인 2천4백 가구에 대한 「아파트」건립계획을 확정짓지 못해 철거민 이주 대책에 차질을 빗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최근 금년도 무허가건물 철거 계획을 발표하면서 고지대·하천변·공원지역·철로변 등지에 있는 무허가 건물 가운데 4천9백여 채를 철거한다고 밝히고 각 구청별로 일제히 철거계고장을 보내 3월말까지 자진 철거하라고 통지했다.
그러나 서울시가 현재 무허가건물 철거민용으로 준비한 것은 지난해 11월에 착공, 현재 짓고 있는 월계 시영「아파트」 1천3백 채와 장안평 1천3백 채 등 모두 2천6백 채에 불과하고 나머지 2천4백여 채는 건설계획을 아직까지 확정짓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지금 짓고 있는 월계와 장안평 「아파트」도 오는 7월쯤에나 입주하게 돼 그 이전에 철거할 경우 다른 곳에서 셋방살이를 해야하게 됐다.
건립계획이 확정되지 않고 있는 2천4백 가구분에 대해 서울시는 지금까지 건축 부지도 선정하지 못했으며 더구나 시유지엔 「아파트」를 지울 땅이 없어 짓는다 하더라도 약4만 평쯤 개인 땅을 수용해야할 판이다.
4만 평의 땅을 확보하자면 평당 평균 10만 원씩 계산하더라도 40억 원이 드는데 정책적으로 하루 빨리 매듭짓고 조기착공하지 않는 한 토지수용, 건설기간 등으로 연내 입주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