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삶의 가능성·허무를 잘 묘사 |김상옥 작『하나의 풀잎 위에』|간결한 이미지로 생의 비극 읊어|김종삼 작『외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조=『문학사상』에서 「그림과 함께 읽는 시」를 특집으로 꾸몄습니다. 시가 독자들로부터 점점 멀어진다는 소리를 듣는 요즘, 이러한 편집은 시와 독자와의 사이를 가깝게 하는 재치 있는 기획인 것 같습니다. 「그림과 함께 읽는 시」는 사실 퍽 아름답게, 그리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읍니다.
이=한더위에도 불구하고 이 달에도 많은 문제작품이 발표되었습니다. 김상옥·김종삼·김윤성·조영서·강민·이유경·문도채·김영재·감태준·이준관씨 등의 작품이 특히 두드러졌다고 생각되는데요….
조=동감입니다. 김상옥씨의 『하나의 풀잎 위에』(문학사상)는 한 잎의 풀잎에다 인생의 생성을 조감시키고 있습니다. 첫 연에선 무한한 인생의 가능성을 형상화 시켰고, 둘째 연엔 다시 변질되어 가는 인생의 허무를 노래하고있어요. 김씨의 작품세계는 동양의 정신과 사상이 특히 두드러지게 돋보이는 것이 특징의 하나가 아닙니까.
이=김종삼씨의 『외출』(현대문학)은 간결한 「이미지」로 생의 비극을 제시하고 있어 요. 『외출』에서 보인 환상의 세계는 단순히 환상으로 그치지 않고 현실에 밀착시키는 대단한 기법을 보이고있어 더욱 호소력이 강한 것 같습니다. 김씨의 환상적 『의욕』은 생의 좌절을 맛보게 했으며 비극적 인식을 절감케 했습니다.
조=김종삼씨의 『근작시초』(현대문학)는 일상생활의 단조로움을 읊고 있으면서 그 내면엔 근엄한 관조의 세계가 하나의 큰 맥박을 가지고 도사리고 있어요.
이=조영서씨는 「이미지」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김종삼씨와 비슷한 유형의 시인이지만 생의 신선감이 좀 더 돋보인다는 것이 특징이라 할까요.
『쾌청』은 그러한 이씨의 특징이 잘 드러난 작품중의 하나입니다.『맑은 바다/팔뚝에 안긴 동해는/쾌청』같은 「이미지」는 신선한 아침햇살 같은 감각을 독자들에게 주고 있습니다.
조=강민씨의 『유월』(월간중앙)은 시골의 유월 풍경을 노래하고 있는데 흔히 이런 유의 시에서 갖게 마련인 어떤 고정관념, 또는 설익은 「이데올로기」가 이 작품에선 들어 있지 않은 것이 호감이 갔습니다.
이=이유경씨의 『초낙도』 ⑤(현대시학)와 『해토』(시문학) 에선 우리가 잃어버린 고향이 오늘 어떤 모습을 띠고 있는가를 이야기 형식으로 노래하고 있습니다. 상징이기보다는「알레고리」를 읽을 수 있지만 지나친 관념성이 때로 이씨의 작품들을 좀 단조롭게 만들기 도합니다.
조=문도채씨의 『친선외』(시문학)와 유재영씨의 『그대의 그늘』(현대시학)은 심상의 보편적인 감흥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다소 특성이 없는 것 같으면서도 저변의 호소력이 강하게와 부딪치고 있어요. 다만 그 저변의 호소력이 생명력이 약한 것 같아 약간 아쉽습니다만…
이=이 달엔 두 젊은 시인 감태준씨의 『몸 바뀐 사람들』(현대문학)과 이준관씨의 『밤길』(현대시학)을 관심 있게 읽었습니다. 아직은 분명한 개성이 드러나지 않고 있지만 두 분이 어느 정도 자기들의 세계를 마련한 듯 합니다. 감태준씨는 환경과 인간의 상호관계를, 특히 한국적 상황 속에서 노래하고 있는데 그의 친선과 판단은 대단히 예리한 것 같아요.
이준관씨는 소외된 땅에서 살고있는 청춘의 비극적 정서를 매우 밀도 있게 노래하고 있는데 이번 『밤길』에서도 그런 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어요. 앞으로의 작품을 기대합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