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쟁력 강화로 무역전쟁 대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한 산업합리화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경제법령을 전면 개편할 방침이다. 남덕우 부총리는 20일 전경련이 주최한 경제장관초청 국제경쟁력강화 관민간담회(타워·호텔)에서 국제개방체제에 대비해 경쟁력을 배양하고 이를 위한 산업합리화 문제가 앞으로 한국경제의 사활이 걸린 문제라고 말했다.
남 부총리는 무역거래 면에서 직접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노력과 아울러①기업내부의 합리화 ②공동사업과 같은 기업외부경제의 합리화 ③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관계 재정립을 통한 사업구조의 합리화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앞으로는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계열화하지 않으면 더 이상 발전할 수 없을 것이며 중소기업도 대기업과의 관계를 긴밀히 해서 다같이 성장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남 부총리는 장기적인 산업구조방향은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부문의 관심사라고 말하고 아직도 일부 기업인들은 이와 같은 산업합리화작업의 참뜻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 앞으로 이 작업은 정부가 끝가지 추구해서 산업합리화의 씨를 거둘 것임을 명심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산업합리화를 위해 주요품목의 원가를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남 부총리는 김연규 기계공업진흥회장의 계속적인 정부지원요청에 답변, 앞으로 모든 기업은 일방적인 정부지원을 바라서는 안될 일이며 피나는 노력을 통해 국제적인 품질의 상품을 싼 가격으로 만들어야할 것이라고 말하고 정부는 공구·시험기기와 같은 간단한 기계류의 수입은 자유화하겠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김용환 재무장관은 최근의 자금사정악화에 언급, 최근 갑자기 자금압박문제가 대두된 데는 자금량 축소에도 원인이 있으나 그보다도 한계지준 제로의 제도전환 때문이며 각 기업은 주거래은행을 최대한으로 활용해 자금을 융통해달라고 말했다.
이어서 장예준 상공장관은 최근의 중동순방결과를 말하면서 수출상사들이 상품수입 국의 사정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지 못해 좋은 상담을 놓치는 일이 허다하다고 지적, 보다 정확한 수입 국 정보획득과 전문요원의 파견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