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 교사의 확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중·고교의 직업·기능 교육 강화를 위해 문교부는 내년도부터 일반 중·고교에 7백5개의 「기능 교실」을 설치하기로 하고 이를 위한 실업계 과목 담당 교사들의 교직 유인 체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6일 문교부가 발표한 『직업 기능 교육 강화 방안』에 의하면 내년도부터 실업계 과목 담당 교사들에게는 현역 병징집 면제의 병역 특혜를 주는 것 외에도, 특별 수당의 획기적 인상 (약 6백% 인상으로 2만원선 확보), 순위 고사 성적에 관계없는 학교장 재량하의 우선 채용제 실시, 공대 대학내 실업계 교사 양성 과정 (공업 교육과)의 대폭 확충 등이 그 골자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조치는 이미 지난 74년에 발간된 중앙 교육 연구원의 조사 연구 제5집에서도 건의된 네가지 제언을 채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중앙 교육 연구원의 건의는 ①대우 개선에 의한 공대 졸업생의 구직 유인 체제의 확립 ②실과 교사의 담당 시간·책임 과목 수 감소·학급당 지도 학생수 감소 등 근무 조건의 개선으로 사기 앙양 대책을 수립할 것 ③공업계 실과 교사의 병역 의무 특례 확장 ④국립 대학 공업 교육과 학생 공납금의 전액 국고 부담과 각종 대여 장학금제의 확대 실시 등을 주장했던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실과 담당 교사들에 대한 특별 수당을 대폭 인상키로 한다고는 하나, 그로써도 동일한 기술 계통 자격증을 가지고 교직 아닌 다른 유사 기업체에 종사하는 동료들에 비하면 보수면에서도 아직 4만∼5만원의 현격한 차가 있다. 그나마 실업계 교사들의 사기와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시설 확보 대책이나 해외 연수 계획 등 그밖의 제반 여건의 개선 문제에 대해 정책적인 배려가 모자라는 것은 아쉬운 점이라 하겠다.
그리고 80년대에 대비한 우수한 과학 기술 인력 수요의 대부분을 실업계 고교와 일반 중·고교의 「기능 교실」을 통해 확보하려하는 이상 실업 교육 담당 교사들의 질·양 양면에 걸친 안정적 수급을 뒷받침 할만한 제도적 배려가 전제되어야 할 것 같다.
실업계 교사, 그중에도 특히 공업계 교사의 양성은 그 방법과 내용의 특수성 때문에 이를 사대에 맡길 수도 없는 것이려니와, 또 공업 대학의 공업계 학과를 졸업한 자라해서 그들을 무조건 실업 교사로 쓸 수 있는 것도 아니다. 75년도에 실시된 기계 공학과 출신 현직 교사의 재교육 강습에서, 공작 기계의 기본이라 할 선반 조작이 가능했던 교사 수는 전체의 겨우 18% (44명 중 8명)에 불과했다는 사실은 무엇을 입증하는 것이겠는가.
80년대 산업 인력 수급의 절대량을 실업계 고교와 일반 중·고교 출신의 초·중급 기능 인력에 기대한다면서 그 기능 양성을 직접 담당하게 될 실업계 교사들의 소양이 이 정도라면 당국의 모든 계획은 처음부터 막대한 재정과 시간의 낭비를 예비하는 것 밖에는 안될 것이다.
문교부는 이번 조치를 통해 충남대 공대 이외에도 부산대·경북대 등의 공과 대학을 계열별로 특성화, 실과 교사 양성 전문 대학으로 개편할 계획을 밝히고 있으나, 문제는 비단 이들 몇몇 학교의 개편으로써 만은 끝나지 않을 것이다.
기존의 10개 국·사립공대 부설 공업 교육과를 함께 더욱 실질적으로 개편 강화하고, 계열화함으로써 실업 담당 교사의 자질을 실제 산업 사회가 요구하는 높은 수준까지 끌어올리도록 하는 근본 대책이 정부·학교·산업체 3자의 연계 하에 시급히 제도화되어야할 것이다.
끝으로 병역·급여·근무 조건 등의 특혜로써 우수한 실업계 교사를 확보하기 위한 교직유인 체제를 확보한다는 것은 물론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그것이 그밖의 일반 교사의 사기 저하를 희생으로 하는 균형 파괴적인 것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실업 교사의 확보도 그 방법은 어디까지나 교육의 일반적인 이상에 쫓아야 한다는 것은 더 말할 나위도 없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