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 근로자복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10일 15회 근로자의 날을 맞이하면서 우리는 박대통령이 지난 8일 새마을 지도자와의 간담에서 지적한 근로자의 후생복지 문제의 중요성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즉 종업원의 후생복지 투자를 늘림으로써 생산도 늘어나고 흑자운영도 가능한 것이라고 말한 것은 매우 절실한 지적이다. 사실 후생복지 투자의 증대는 장기적으론 기업과 종업원에게 다같이 유익한 것이며 이는 국민경제의 균형적 발전과도 연결되는 문제다.
기업을 움직이는 것은 결국 사람이다. 한 사람 한사람의 종업원이 얼마큼 보람을 느끼며 적극적으로 맡은바 직분을 다 하느냐에 기업의 발전여부가 달려있다. 기업이나 종업원이나 서로 일방적인 요구만 할 순 없다. 호혜적인 방안을 찾아야 한다. 기업은 종업원이 최선을 다 할 수 있는 환경과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하고, 종업원은 그에 상응한 생산성 향상에 노력해야 한다.
사실 이제까지 우리나라에선 기업이 종업원에 대한 복지 후생적 배려를 소홀히 한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일부 앞서간 기업들을 제외하곤 저임과 저생산성의 악순환을 해왔다. 이는 근본적으로 인력의 공급이 수요보다 많고, 또 산업구조면에서 높은 질의 인력이 절실히 필요치 않았다는데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제 인력의 수급 사태는 크게 달라지고 있는 것이다. 이미 기술계 인력과 기능공의 부족현상은 현저하다. 아직까진 취직난 속의 인재난의 단계지만 얼마 안 가 절대적인 인력부족 시대가 온다고 보아야 한다.
경제규모의 확대 및 경제구조의 고도화에 비례하여 양질의 인력에 대한 수요는 급증할 전망이다. 인력수급사태의 변모에 따라 종업원 처우도 개선하지 않을 수 없는 추세다. 그러나 일방적인 종업원 처우의 개선은 기업경영의 압박, 국제경쟁력의 약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많은 기업들이 이 핑계를 대고 처우문제를 소홀히 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보다 나은 처우가 종업원의 보다 높은 생산성 향상을 나타낸다면 오히려 더 소망스러운 일이 아니겠는가.
앞으로 예상되는 인력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1인당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이다. 이는 기업이나 국민경제나 마찬가지다.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생산성의 향상은 자본 장비율의 제고와 아울러 종업원의 근로의욕 고취와 능률적인 근로방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미 선진국의 큰 기업에선 종업원이 보람을 갖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의 조성에 부단한 연구를 하고 있다. 처음엔 작업능률을 올리기 위하여「컨베이어·시스팀」이 나왔으나 이것이 종업원의 비인격화를 초래, 근로 의욕을 저하시킨다 하여 수동식「컨베이어·시스팀」장치까지 등장하는 단계에 와 있다.
종업원을 위한 복지후생 시설도 근로의욕과 작업능률을 높이는데 근본 목적이 있다. 후생·복리를 위한 비용은 장기적으로 보면 기업의 이익을 증대시켜 주는 인적 투자라 할 수 있다. 후생·복지시설을 통해 우선 종업원에게 정신적·물질적 혜택을 주고 이것을 바탕으로 기업은 보다 높은 생산성을 얻는 것인바, 이것이야말로 고임금·고능률 원칙의 실천이며, 또 앞으로 한국 기업들이 어차피 가야할 길이기도 하다.
특히 근로자의 날을 맞아 기업들은 장기적인 번영과 사회적 기능의 확충을 위해서도 종업원 복지후생 문제를 좀 더 진지하게 검토해 봐야 할 것이다. 이와 아울러 기업은 종업원의능력개발 및 훈련에 더욱 더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물론, 정부에서도 인적자원의 개발에 보다 정책적 역점을 두어야 하겠지만, 기업도 그런 분야에 과감한 투자를 하지 않으면 안될 단계가 되었다. 사람에 대한 투자는 당장은 눈에 잘 띄지 않을지 모르지만 가장 귀중한 기업의 자산인 것이다.
1인당 부가가치를 높이고 국민경제의 고도화를 위해서도 기업은 종업원의 후생복지나 능력개발을 위한 지출이 결코 손해가 아니며 장기적으론 기업의「플러스」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