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헌 개정 7인소위 구성 신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신민당은 11일 중앙당 총재실에서 당헌개정심의 7인소위(주류=이충환 유치송 김수한 의원·비주류=정해영 이중재 송원영 의원·중도=김재광 의원) 첫 회합을 갖고 주·비주류가 각각 제출한 당헌 개정안의 절충과 전당대회를 앞두고 양측의 쟁점이 되고 있는 현안 문제를 협의했다.<관련기사3면>
당헌 개정 심의 소위는 10일 하오에 열린 정무회의에서 3시간 동안의 격론 끝에 양측이 그 구성에 합의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정무회의는 이 소위에서 13일까지 시한부로 현안 문제를 충분히 논의, 타협에 이르도록 노력하고 이 소위에서 합의된 것은 14일 열리는 정무회의에서 추인하며 타협을 이루지 못한 문제에 대해서는 14일 다시 논의한다는 원칙에 의견을 같이했다.
비주류는 10일 정무회의에서 김원만·이중재·송원영·채문식 의원 등이 『이 소위에서 양측의 당헌을 단일화하도록』촉구하는 한편 『김영삼 총재가 제안한 부총재제 신설 당헌 개정안은 이미 발의가 돼 있다』고 지적, 김옥선씨 등 정무위원 13명의 서명을 얻어 제출한 비주류의 집단지도 체제 당헌 개정안도 일단 발의시켜 놓고 논의하자고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김 총재는 『일단 비주류안이 발의돼 버리면 소위에서 당헌 개정안을 논의할 의의가 없어지기 때문에 소위 토의 결과를 본 뒤에 다시 논의하자』고 말하고 『어느 안이든지 햇빛을 못 보는 일은 없도록 하자는 게 나의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비주류측이 소위 토의 사항에 포함시킨 6개 의제는 ▲주5 비5 동수로 전당대회 준비위원회를 구성할 것 ▲정무회의 선출 전당대회 대의원 1백명 처리 문제를 정무회의서 다룰 것 ▲김 총재가 임명한 중앙 상무위원 30명 재심 ▲김달수 윤혁표 두 정무위원과 4개 사고 당 조직의 임명 무효화 등이다.
첫날 회의에서는 김영삼 총재의 인사에 이어 이충환 의원을 위원장으로 선출하고 현안 문제들을 자유스럽게 부각시켜 정리했다.
비주류측은 7인 소위에서 당헌 개정안의 협상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대비하여 비주류측안도 전당대회에 상정시킨다는 사전 보강을 거듭 촉구했으나 주류측은 의사 규정에 따라 전당대회 대의원 4분의1이상의 서명을 얻으면 김 총재 안에 대한. 수정안을 제출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우선 현안 문제들을 자유스럽게 얘기해 보자는 입장을 취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