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선급행버스 노선 2개 → 44개로 늘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전국 대도시권의 도심과 외곽을 잇는 간선급행버스(BRT) 노선이 현재 2개에서 44개로 대폭 늘어난다.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여 교통 혼잡과 온실가스 배출을 낮추자는 취지다. 국토교통부는 19일 서승환 장관 주재로 열린 국가교통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 변경(안)’ 등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변경된 기본계획(2017~2020년)에 따르면 BRT 노선은 현재 운영 중인 청라~강서 등 2개 노선에서 44개 노선으로 확대된다. 수도권에서는 경기도 수원 장안구청 사거리~서울 구로디지털단지역(25.9㎞, 중기), 서울외곽순환도로(128㎞, 장기) 등 24개 노선 총 연장 561.1㎞가 조성된다.

부산·울산권에서는 부산 하단~진해 용원 교차로(15.9㎞, 장기) 등 2개, 광주권에서는 광주시 동운고가차도(14.3㎞, 장기) 등 3개 노선이 조성된다. 대구·대전권에도 각각 6개, 9개 노선이 들어선다.

 BRT는 급행버스가 주요 간선도로를 빠르게 오갈 수 있도록 꾸민 전용차로 시스템을 가리킨다. 버스가 교차로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교통신호가 바뀌어 버스가 정차하는 일 없이 빠르게 통과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서울시 등에서 운영 중인 일반 버스전용차로제와 다르다. 또 여객수송용량이 경전철의 85% 수준인 데 비해 사업비는 6.5%에 불과해 ‘저비용 고효율 대중교통 수단’으로 꼽힌다.

 기본계획에는 BRT 확대 외에 광역간선철도망 71개 노선 1993㎞, 광역간선도로망 189개 노선 2683㎞를 연장·확대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국토부는 이를 통해 2020년까지 대도시와 인접지역의 평균 통행속도가 현재 시속 36.4㎞에서 시속 41.7㎞로 15% 빨라지고 대중교통분담률은 37.4%에서 46.5%로 26% 향상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교통혼잡비용과 온실가스 배출량은 각각 10%씩 줄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BRT 확대로 승용차 통행속도가 떨어져 자가용 이용자들의 반발이 있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토부 구헌상 도시광역교통과장은 이에 대해 “대중교통 속도가 빨라져 많은 시민이 이용하게 되면 그만큼 승용차 정체빈도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김한별 기자

◆BRT=Bus Rapid Transit의 약자. 지하철 운용방식을 버스에 적용해 통행속도를 높인 시스템으로 ‘땅 위의 지하철’이라고도 불린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