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인구 집중 억제라는 대학 정원 조정 원칙은 빈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유기춘 문교부장관의 대학의 증과·증원에 학원 소요 사태가 작용했다는 발언이 경북대학보에 보도되자 증과·증원이 되지 않은 일부 대학 당국자들은 『서울의 몇몇 사립명문대학에서 단 1명의 증원이 없었던데 대해 문교부가 내세운 조정 원칙 외에 학원 소요가 크게 작용한 때문일 것이라고 짐작했었다』고 말했다.
문교부는 지난해 12월에 있었던 75학년도 대학 정원 조정 원칙을 ①수도권 인구 집중 억제와 지방 대학 육성 ②국가 인력 수급 등이라고 밝히고 전국 65개 대학에서 1만4천5백20명의 증원 요청 중 48개 대학에서 2천6백30명을 증원했었다.
서울의 연세대·고려대·성균관대·이화여대 등 사립 명문대학과 지방의 경북대·전남대·전북대 등이 전혀 증원되지 않았다.
연세대의 경우 6백5명, 고려대는 1백20명, 성균관대는 5백65명을 증원 요청했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