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류 소비 권장 검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부는 유류 파동 이후 석탄에 대한 수요가 급증, 석탄의 수급 균형이 어려워지자 다시 경유와「벙커」C유 등 중경질유 소비를 적극 권장하는 방향으로 새로운「에너지」수급 대책을 검토, 난방용 경유 및 등유 값을 30% 인하하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정유 회사 결손은 별도 보장하는 방안을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여당은 13일 하오 국무총리 공관에서 연석회의를 열고 올 겨울 연료 대책을 협의, 석탄 수급 불균형에 대비하여 중질유 소비를 다시 권장하고 석탄의 수요를 규제, 수급을 조정하는 문제를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측에서 홍성철 내무, 남덕우 재무, 장예준 상공, 고재필 보사부장관과 공화당에서 박준규 정책위원장과 부의장단, 유정회의 구태회 무임소장관 등이 참석한 이날 회의에서 정부는 올해 석탄 수급 전망이 어둡다고 분석, 석탄과 유류 사용 비율을 조정하는 방향으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또 이날 회의는 석탄 부족량을 메우기 위해 호주산 석탄의 수입 문제를 검토했는데 수입 가격이 t당 1만6천원으로 국내 가격(t당 5천1백원)의 3배 이상이나 돼 수입이 어렵다고 판단, 8월 1일부터 중탄(31공탄)의 생산을 중단시키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석탄 생산 목표는 1천5백만t으로 작년보다 약 10.5%를 증가 책정했고 상반기 생산실적은 7백31만5천t으로 상반기 목표(7백31만t)를 약간 초과했으나 소비가 작년보다 50%이상 증가되어 수급 불균형이 예상되고 있다.
작년 유류 파동 이후의 잇따른 유류 가격 인상으로 현재 석탄과「벙커」C유의 열량 생산비용을 비교하면 석탄1에「벙커」C유 3으로 석탄이 3분의 1이나 싸게 먹히게 돼 있기 때문에 석탄의 소비 증가는 불가피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9월말 전국 소비지 저탄 목표는 2백50만t, 서울은 1백만t인데 지난 6월말 현재 서울의 경우 저탄 목표 44만t에 실적은 37만t에 불과했다.
이 같은 석탄의 수급 불균형은 단기적으로 유류 파동이 원인이나 그 동안 석탄 산업에 대한 정책의 소홀과 소비의 침체 등으로 석탄 생산량이 부진, 생산 증가 체제가 갖추어지지 못했던 것이 더 큰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