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우리 도자기 뽐내려 파리 유네스코 갑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신경균의 도자기는 보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도자기의 최종적인 미학은 촉각이기 때문이다. 물레의 회전과 손의 감촉에서 태어난 둥근 흙의 형태는 새의 둥지이며 작은 하늘이다.” 이어령 전 문화부 장관은 그의 도자기를 두고 이렇게 일렀다.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은 또 이랬다. “신경균 도자의 빛깔은 그것이 풀빛이든 흙빛이든 한 그릇 안에서 색채의 미묘한 변주를 이룬다… 그것은 오직 장작 가마에서만 나타낼 수 있는 우연적이지만 필연적인 색채의 변화다.”

 부산에서 활동하는 도예가 신경균(50·사진)씨가 오는 3월 31일부터 닷새간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전시를 연다. 400㎡(121평) 규모의 호안 미로 전시장에서 찻사발·병·달항아리 등 100여 점을 소개한다.

이에 앞서 다음 달 8일까지 서울 율곡로 3길 갤러리 아트링크에서 전시회를 갖는다. 파리에 소개할 작품을 미리 보여주는 자리다. 17일 전시장에서 만난 그는 “일반인은 쉬이 들어갈 수 없지만, 유네스코 본부는 세계 190여 개국 대표부 관계자들이 모여 일하는 곳이다. 우리 도자기의 아름다움을 그들에게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아버지 신정희씨의 가업을 이어받아 도예가가 된 그는 지금도 매일 오전 3시부터 16시간씩 도자를 만든다. 1년에 네 번, 한 번에 70여 시간씩 가마에 불을 넣어 굽는다. 전통 장작 가마의 불은 오로지 우리 소나무로만 땐다. 재를 거의 남기지 않고 다 타버리기 때문이다. 원목을 말려 쓸만하게 하는 데만 5년이 걸린다. “불쏘시개도 그럴진대, 숭례문 나무가 문제되는 걸 보면 한숨이 나온다”고 그는 말했다. 그게 그가 추구하는 전통이고 즉흥이다. “내 작업은 즉흥적인데, 그게 참 어렵다. 그만큼 평소에 철저하게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글·사진=권근영 기자

부산 도예가 신경균씨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