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우면산 산사태같은 대형 안전사고에 대해 신뢰성 있는 분석 낼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0면

2010년 천안함 폭침 사건은 정치·군사적 사건인 동시에 과학과 관련 있는 사건이었다. 선체 절단면의 형태와 주변에 남은 화약의 흔적, 북한군 어뢰 글씨의 진위 여부 등을 놓고 갑론을박이 치열했다. 당시 국내외 과학자 여럿이 자천타천으로 이 논쟁에 참여했다.

 서울대 재료공학부 권동일(56·사진) 교수도 그중 한 명이었다. 그는 당시 민관합동조사단의 의뢰를 받아 천안함 선체와 어뢰의 부식 정도를 살폈다. 이어 그해 말, 서울대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안보·사회안전 분야 법공학 연구 양해각서(MOU)체결에 앞장섰다. 그리고 3년 뒤인 지난 연말, 민간 최초의 종합안전연구소인 법안전융합연구소가 서울대에 문을 열었다. 권 교수가 초대 소장을 맡았다. 7일 첫 이사회를 앞두고 권 소장을 만나 법공학의 의미에 대해 물었다.

-민간 CSI(과학수사대)를 지향하나.

 “형사사건 감정은 국과수가 한다. 우리 연구소는 우면산 산사태, 구미 불산 유출과 같은 대형 안전사고에 대해 신뢰성 있는 분석을 내놓는 게 목표다.”

-안전기술이 따로 있나.

 “별도의 기술이라기보다 현존하는 기술을 안전에 초점을 맞춰 활용하는 것이다. 요즘 재난은 복합재난이다. 우면산 산사태만 봐도 비·토지·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한두 명이 답을 내기 어렵다. 여럿이 모여 갑론을박을 벌인 뒤, 종합적 해법을 제공해야 한다. 천안함 논란이 벌어진 이유도 마찬가지였다. 과학지식이 모자란 게 아니라, 다양한 의견을 종합 판단하는 기능이 부족했다.”

-왜 융합 연구가 중요한가.

 “과학이 주는 답은 늘 같지만 그에 대한 평가는 다 다르게 마련이다. 다양한 인적 풀(pool)을 구성해 전문성을 살려야 한다. 다양한 전문가들이 함께 모여 논의할 수 있는 장(場)을 만들어 주는 게 중요하다.”  

김한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