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존폐기로의 「오스트리아」군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유럽」대륙 한복판에 위치한 「오스트리아」가 영세중립국이 된것은 1955년5월 미·영·불·소 4대국의 분할점령으로부터 주권회복조약을 체결, 독립하면서부터이다. 「오스트리아」에도 군대는 있다. 비록 제한된 규모나마 의무병역제의 방위군이 있다.
그러나 그렇지 않아도 형식적인 군대가 근래에 와서 더욱 유명무실해지는 경향이 있어 「오스트리아」의 조야는 이 문제로 논쟁이 분분.
1956년과 1968년 「헝가리」및 「체코」의 위기때 「오스트리아」는 쏟아져 들어오는 피난민을 통제하기 위해 5천명의 군대를 국경지대에 파견할수 있었다. 그러나 작년여름 홍수구조사업을 벌이기 위해 7백명의 군대를 필요로 했을 때는 예비군이 동윈되지 않으면 안되었다.
작년가을 전력평가실험이 있었는데 육군의 전차는 40%, 공군의 「제트」전폭기는 30대중 18대가 작동불능이었다. 한고위장교는 후에 전문상비태세가 갖추어진 대대는 하나도 없다고 지적했다.
2년전 실시됐던 비상훈련은 더욱 가관. 「빈」에서 1백「마일」도 안 떨어진 군기지에 비상령이 하달되는데 1시간이 걸렸을 뿐 아니라 막상전보가 도달했을때 그 암호문을 해독하는 사람이 한사람도 없었다.
기지의 차량 대부분엔 휘발유가 없었고 급유소조차 없었다.
비상령을 내린 후 3시간만에 「브루노·크라이스키」수상이 시찰하러 나왔을 때 준비를 갖춘 부대는 4개중대중 2개중대뿐이었다. 이 결과를 놓고 「빈」의 신문들은 「오스트리아」군은 『「오페레타」군대』라고 비꼬았다.
인구 7백50만인「오스트리아」의 군대는 현역4만명에 예비군이 10만명이다. 1년에 3번씩 약1만4천명의 젊은이들이 6개월의 행군훈련을 받기위해 징집된다.
작년겨울 이 행군훈련받는 징집병에 얽힌 사건이 크게 사회문제로 등장한 일이 있다. 2명의 징집병이 「빈」근교에서 기차를 기다리는 동안 요기를 하기 위해 한 식당에 들어갔다. 「유니폼」에 장총을 둘러메고 들어서는 이들을 보고 겁에 질린 손님들과 놀란 주인이 경찰에 연락, 「무장군인」의 출현을 신고했기 때문에 이들은 상부에서 석방시킬때까지 구금되지않으면 안되었었다.
이에 자극된 「칼·뤼트겐드르프」국방상은 곧 전면적인 군개편을 단행할 계획이다. 새사령부를 창설하고 고위장성의 인사이동·봉급인상·장교승진제도의 개선·고령자퇴역조치등 일련의 작업을 추진중이다.
사실 이런 것들은 「오스트리아」군대가 당면한 난제들. 예를 들어 최근까지 직업하사관학교는 매년2백80명씩의 하사관을 3번에 걸쳐 배출했으나 금년엔 단 50명뿐. 또 매년 90명씩의 정규사관을 육성하던 「마리아·테레시아·아카데미」의 경우 내년 졸업 예정자는 23명이며 후내년에는 35명이다.
전체 예산의 4%에 불과한 2억「달러」의 국방예산으로는 봉급수준 또한 지극히 빈약하지 않을수 없다. 따라서 고육지책으로 새로운 멋장이「베레」모를 도입(서독은 「베레」모의 사용을 시작하면서 지원율이 10%나 뛰었다)해 보기도 했지만 별 성과를 보지 못했다.
한편 정부의 이러한 개혁계획에 대해 의무병출신장교들 약2천명이 이에 반대하는 진정서를 의회에 제출했다.
그런가하면 2년전에 군대전폐안을 국민투표에 회부시키려다 실패했던 반군사주의자들은 동서해영·「유럽」이 안보회의·동서감군회담등의 국제경세를 들어 명맥만 남은 군대를 개혁하느니 아예 없애버리자고 주장하고있다.
따라서 이미 실질적인 전문군의 기능이 사라진「오스트리아」군은 이제 다시 존폐의 기로에 서 있는 셈이다. <워싱턴·포스트지=본사특약>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