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인물·내부 조율·자금 ‘삼중고’ 어떻게 뚫을까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앙선데이, 오피니언 리더의 신문"

안철수 의원이 지난달 28일 신당 창당을 공식화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안철수 의원이 지난달 28일 ‘국민과 함께하는 새정치추진위원회(추진위)’ 출범을 선언하며 신당 창당을 공식화했다. 안 의원 스스로 창당에 대해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하지만 여전히 그 내용이 모호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신당 창당을 준비한다는 얘기가 새롭지 않은 데다 함께할 사람들과 창당 로드맵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안 의원의 행보 뒤에는 크게 세 가지 고민이 있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안 의원의 첫째 고민은 새 정치를 상징할 참신하면서도 중량감 있는 인사를 영입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특히 현직 의원 가운데 합류할 뜻을 밝힌 인사가 드문 게 문제다. 안 의원 주변 인사들은 “하겠다는 사람은 많은데 정작 데려오고 싶은 사람은 뜻이 없다”고 입을 모은다. 야권의 한 인사는 “기대를 품고 안철수 신당에 합류한 조직 전문가가 ‘막상 가 보니 B급도 아니고 C급만 모여 있다’고 토로하더라”고 전했다. 신당 지지율이 특히 높은 전북 지역의 한 민주당 관계자도 “신당 지지율이 민주당의 두 배가 넘지만 인물로 가면 신당이 불리할 거다. 민주당 공천에서 떨어진 사람들만 신당에 몰리는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현재 신당 참여가 예상되는 인사는 민주당 출신 전직 의원들이 대부분이다. 이계안·강봉균·김효석·류근찬 전 의원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각각 서울시장과 전북·전남·충남 도지사 후보로도 거론되고 있다. 안 의원 측은 중도 성향의 원희룡·정태근 전 새누리당 의원과 김부겸·김영춘·정장선 전 민주당 의원과도 접촉해 합류 여부를 타진했지만 긍정적인 답변을 얻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종빈 명지대 교수는 “신당의 가장 큰 숙제는 기성 정당과의 차별화인데, 사람을 모으다 보면 경험 있는 사람들을 쓸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차별화가 잘 안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둘째 고민은 신당 창당의 시기와 방식이다. 안 의원 주변에선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창당 없이 선거 없다”는 조기 창당파와 “선거용 창당은 안 된다”는 신중파가 맞서고 있다.

조기 창당파는 “창당을 해야 지방선거에서 당선자를 낼 수 있고 지역 조직도 다질 수 있다”는 입장이다. 안 의원이 국회에 입성한 지 7개월이 지난 만큼 존재감을 보여 줄 때가 됐다는 여론도 내세우고 있다.

반면 신중파는 “인물·정책·강령 등이 충분히 준비된 뒤 창당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반박한다. 인물 영입이 쉽지 않은 데다 거물급 인사들이 내년 지방선거보다는 2016년 총선을 겨냥하고 있다는 현실론을 감안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기초의원 정당 공천제가 폐지될 가능성이 높아 지방선거 전에 창당하면 큰 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계산도 내세운다. 차기 대선을 바라보는 안 의원 입장에선 정치시계를 최대한 늦추는 게 유리할 수 있다고도 주장한다.

안 의원이 회견에서 창당 선언을 하지 않고 “지방선거에서 최선을 다하겠다”고만 밝힌 것도 이런 내부의 입장 차를 정리하기 위한 줄타기 발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박상훈 후마니타스 대표는 “내년 지방선거 정국에서 동력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으면 내부의 작은 갈등도 크게 번져 조직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창당에 드는 자금도 숙제다. 창당준비위원회(창준위) 출범 후의 창당 과정에서 적잖은 자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선거법상 창당 자금은 창준위 발기인들이 내는 회비와 발기인에게서 차입한 기금으로만 마련할 수 있다. 차입한 기금은 창당 이후 당원들이 내는 당비와 국고 보조금으로 갚는 식이다. 선거법이 개정돼 국회의원 개인 후원회는 가능하지만 중앙당 후원회는 둘 수 없도록 돼 있다. 이 때문에 창당 자금은 현실적으로 국고 보조금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나 안철수 신당이 총선 전에 창당할 경우 받을 수 있는 국고 보조금은 미미한 수준이다. 국고 보조금은 교섭단체인 새누리·민주당에 절반이 가고 일부가 5석 이상인 군소 정당에 지급되는데 신당의 경우 아직까지는 안 의원과 송호창 의원 등 2명 외에 현역 의원을 찾기 힘든 상황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안 의원의 공식 조직인 ‘정책네트워크 내일’의 자금을 창당 자금으로 활용하기도 어렵다. ‘내일’이 일반인에게 회비와 후원금을 받을 수 있는 지정기부금단체로 분류돼 단체 명의나 이사장 명의로 특정 정당이나 특정인에 대한 선거운동을 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류정화 기자 jh.insight@joongang.co.kr

중앙SUNDAY 구독신청

관련기사
▶ 송호창 "선병렬 의원, 안철수 신당 합류 의논 안 해"
▶ 선병렬 탈당 "안철수 신당 참여"
▶ 정운찬, 안철수 지원 요청에 "함께 할 생각 없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