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표의 구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표는 선거의 심판자-. 이 심판권을 가진 선거인의 인구 증가에 비례해서 매년 불어나고 있다.
지난 67년의 대통령선거 때 1천3백93만명, 국회의원선거 때 1천4백71만명이던 선거인이 올해의 기본명부에는 1천5백17만명으로 나타났다. 오는 두 차례 선거에서 투표할 실제 유권자는 해외거주 부재자를 합쳐 1천5백25만명 선이 될 것이다. 전체 인구의 49.2%를 차지하는 유권자는 젊은 층의 증가와 도시 표가 늘었다는 구조적 특징을 지니고있다.
통계상에 나타난 세대별 인구는 10대, 20대와 40대, 50대간에 심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 10대, 20대 인구가 평균 6백만명 선인데 비해 50대, 60대는 그 절반인 3백만명 선에 불과하다.
이 같은 인구구조는 유권자의 구성면에 그대로 반영되어 표의 「피라미드」형 구조를 형성한다. 즉 낮은 연령층일수록 많은 구성비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67년 선거 때의 유권자 구성비는 30세 이하가 31.7%, 31∼40세가 25.7%, 41∼50세 18.4%, 51∼60세 13.7%, 60세 이상이 11%였다. 이번 기본명부상의 유권자에 이 비율을 적용하면 30세 이하가 4백80여만명이고 40세까지를 합치면 전체의 반이 훨씬 넘는 8백60여만명에 이른다.
특히 20대의 대부분이 전후세대라는 점에서 이들의 투표성향은 관심거리가 되고 있다. 지난 4년 동안에 추가된 새 유권자는 해방 2년 후인 47년과 「6·25」동난 다음해인 51년 사이에 출생한 순수전후세대인 것이다. 이제까지의 추세로는 20대의 기권율이 높았으나 투표에 참여하는 절대 다수는 항상 많은 편이었다.
도시 표의 증가는 상대적으로 지난 4년 사이에 농촌 표를 감소 시켰다.
서울과 부산에서 40만명 가량이 늘어난 반면 강원·충남북·전남 북·경남북 등 7개 도에서는 지난 국회의원 선거 때보다 유권자가 줄었다. 이것은 도시공업화에 따른 이농현상의 결과로 보인다.
대부분 이농자의 생활수단이 안정되지 않았다고 보면 이들의 정치에 대한 태도는 큰 변화를 요구하거나 무관심으로 기울어질 가능성이 있다.
서울·부산을 포함한 전국 30개시의 선거인은 6백30여만명으로 전체의 42%를 차지한다. 67년의 5백70만명(40%) 보다 60여만명이 불었는데 역시 대도시일수록 많은 증가를 나타내고있다.
도시 중에서도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 등. 6대 도시가 4백90만을 지녀 전체의 32.5%, 도시표의 77%를 정하고있다.
63년의 두드러진 여촌 야도 현상이 67년에는 적잖이 평준화되었다.
63년의 대통령선거에서 여당은 30개 도시 중 부산·순천·대구·진주·충무·진해·삼천포·제주 등 8개 시에서 이기고 나머지에서 졌었으나 67년 선거에서는 서울·인천·수원·의정부·천안·전주·군산·광주·목포·순천 등을 뺀 20개시에서 야당을 눌렀던 것이다.
유권자의 지역분포로 볼 때는 영남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있다.
부산과 경남북의 표는 전체의 30%를 약간 상회하는 4백60만이나 된다.
전남북은 3백여만으로 전체의 20%이며 충남북이 2백만(14%), 경기와 강원도가 각각 1백60만(11%), 86만(5.6%)이다.
63년 선거 때는 공화당이 전남북과 경남북·부산·제주 등 6개 시·도에서 우세하고, 서울·경기·강원·충남북 등 5개시·도에서 약세를 보여 이른바 「표의 남북 현상」을 이루었으나 67년 선거에서는 여당이 강원·충북·경남북·부산에서, 야당이 서울·경기·충남·전남북에서 각각 우세하여 그 동서 현상으로 변모했다. 동부 지역의 이번 유권자는 41.6%(제주포함), 서부가 58.4%로 나타났다. 이번 선거에서 지방색은 배격되고 있지만, 영남과 호남에서의 여야 우열 차와 그 밖의 지역에서 여야 어느 쪽이 강세를 보일 것이냐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조남조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