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당에 절감바람|기구축소가 의미하는 것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공화당은 20일 당무회의에서 당의 중앙위원회, 중앙상위등 대의기구와 시·도 지부를 폐지하고 실무기구를 대폭 줄이는 기구축소를 단행했다.
이에 따른 실무기구의 대폭 인사 이동도 금주 안으로 매듭짓는다.
공화당의 체제개편은 지난 64년과 65년의 당헌개정 파동이후 최대규모로 사무기구에서만 1백여명이 감원된다.
기구축소의 내용은 ⓛ중앙위, 중앙상위등 대의기구 폐지 ②시·도지부 전면폐지 ③중앙사무국의 5부 19국 1실을 4부12국1실로 줄인다 ④지구당 산하 지소도 56개소에서 35개소로 줄인다 ⑤정책연구실에 차장제를 신설, 현재의 정책발전부와 운영처를 없앤다. ⑥9개 특별위원회중 6개 위원회를 폐지한다는 것 등이다.
당기구 개편으로 상근 인원만도 5백여명중 20%가 줄게됐고 당경비는 40%가량이 줄게된다는 것. 개헌직후부터 당 고위층에서는 서는 ①서정쇄신의 당 기구를 줄여 ②매달 2천만원 정도가 드는 경상비를 반 정도로 절감하며 ③비능률적인 요소를 절제하여 비대한 집권당이 국민들에게 주는 압력감을 해소할 필요성을 얘기해왔다.
이번 개편이 그러한 필요를 어느 정도 충족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표면적인 이유 외에도 이번 개편에서 집권당 내부에 깔려 있는 갈등을 해소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공화당이 창단 될때 김종필 전 당의장을 때 중심으로 한 창단인사들은 당기구를 이원화하여 각급 사무기구가 독립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했다. 이원조직은 영국의 정당제도에서 따온 것이었으나 한국적인 풍토에 토착하지 못하고 64년과 65년 국회의원들의 반발에 부닥쳐 이른바「당헌개정 파동」을 거쳐 지구당조직에서부터 금이 가기 시작했다. 이원조직의 흔적으로 남았던 시·도지부 사무국이 없어짐으로써 공화당 이원조직은 상징조차 상실하게 된 것이다.
이번 개편은 관폐의 소지제거로 보는 사람도 있다.
경비절약과도 별로 관계가 없는 중앙위와 중앙상위의 폐지는 일부 위원들의 이권개입을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당원들의 정치적 의욕을 흡수하는 것을 한 기능으로 하는 정당으로서는 문젯점이 없는 것도 아니다. 지난번 개헌추진 과정에서 당내의 반발이 컷 다는 것이 이번 기구축소에 큰 원인이 아니였나 싶다.
개편이 국민투표 직후, 71년 선거를 1년 남짓 앞두고 단행된다는 점은 대통령선거 같은 전국단위 선거에서 당의 역할이 크지 않다는 결론이 내려졌기 때문이라는 풀이도 있다.
어쨌든 이번 개편은 창당 때의 구각을 벗어나 현 지도체제에 맞는 당 체제로 공화당을 재편했다는 의미를 지닌고 있다.
그러나 감원될 1백여 직업당원의 전출과 원외대의기구 구성원들의 소외감을 어떻게 무마하느냐가 문젯점으로 남았다.
또 이번 개편으로 당내 서열이 얼마간 현실화되기도 했다. 당내의 3번 서열이던 중앙위의장 (김성진씨) 자리가 없어졌으며 도당위원장도 모두 없어져 지구당은 중앙당 직할로, 각도 출신 의원은 도별로 보다는 국회상위별로 움직이게 된 것이다. <성병욱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