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의료계, 가족중심 전공의 교육부터 뜯어고쳐야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 안덕선 교수(고려의대)

60년 동안 변화없이 지속돼왔던 의국중심•가족중심 전공의 교육에서 탈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고려의대 안덕선 교수(사진)는 “60년 간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변화를 하지못했다는 사실 자체가 전공의 교육이 갖는 취약점”이라며 “과거 전공의 교육이 변하지 않았던 이유는 교육이 끝나고 다가올 경제적 이득이 워낙컸기 때문에 몇년 쯤 고생은 참을만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전공의와 교수는 의국이란 단위로 제약회사의 도움을 받고, 개원으로 성공한 동문의 지원을 받으며 의국제도를 유지해왔다는 것. 그러나 이제는 전문의가 돼도 국가의 통제가 더욱 심화되고 사회가 특정분야나 직종의 권력화를 수용하지 않는다.

이에 전공의교육에서 나타나는 노동 강도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요구할 수 있어야 하는데도 급여의 주체가 병원이다보니 의료계 자체 문제로만 귀결되는것처럼 보인다는 지적이다.

안덕선 교수는 “선진국은 의료교육에 대한 학비와 전공의 급여, 임상실습을 위한 교육비를 보조하고있다”며 “그러나 우리나라 정부는 수가는 통제하면서 이에 상응하는 전공의 교육이나 의대 지원은 모른체한다”고 꼬집었다.

법학공부를 한다면 국가 부담으로 사법연수원 교육을 받고, 조종사가 되기 위한 교육도 국가가 부담한다. 공무원은 국가가 해외연수와 박사학위에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안 교수는 의료계 먼저 변화에 앞장서야 한다고 말한다.

안 교수는 “의사 전문직도 합리적인 대사회적 소통기술과 정책적 대안 제시, 실행방안을 위한 전략개발 등 변화를 위한 포괄적 사회 능력을 갖춰야 한다”며 “현재의 가족공동체인 의국중심 전공의 교육은 전공의 자신이 이미 전문직에 편입됐음에도 자신이 노동자인지 전문직인지 혼돈이 되는 환경을 만든다”고 지적했다.

사회적 공동체가 아닌 가족적 공동체 토양 속에서 교육받은 전공의가 전문의로서 사회에 진출해 보여주는 한계가 바로 현재 의료계 모습이란 것.

그는 “의료계에 대한 정부의 부당한 통제에 대해 적절한 대응도 필요한데 의료계는 스스로 살을 깎아 먹으며 대학과 병원 간 끔찍한 경쟁에 휘말린다”며 “의료계의 자충수 소용돌이 속에서 거대 비즈니스가 되지 못한 개원가와 중소병원은 신음소리를 내고, 자영업자로 몇억 이상 투자가 요구되는 현실도 전공의가 가야할 길처럼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안덕선 교수는 “의료제도가 바뀌려면 이제는 전문직 공통역량에 관심을 갖고 선배의사들이 걸어온 길과 다른길을 갈수 있게 해야한다”며 “우리나라 전공의 교육의 발전을 위해 의국중심의 교육을 사회적 공동체로 바꿔주고 대학과 학회, 의학회가 현재와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역량을 보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기기사]

·카엘젬백스, 항암백신 'GV1001' 연구개발 박차 [2013/06/25] 
·배우 하지원, 아식스 사장 만난 이유는? [2013/06/25] 
·샘표 '더 건강해진 백년동안 흑초' 출시 [2013/06/25] 
·의료계 ‘독과점’영역 너무많다 주변서 ‘맹공’ [2013/06/25] 
·일동제약 의약품 리베이트 또 의료계로 확대되나? [2013/06/26]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