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토직도 외지인 입질 심해

조인스랜드

입력

대전지역 땅에도 외지인들이 몰려들고 있다.택지개발지구 내 상업용지는 물론 일반 토지에도 서울 등 수도권의 뭉칫돈이 유입되면서 값이 많이 뛰었다.

한국토지공사 충남지사에 따르면 지난해 초까지 대전 둔산지구와 노은1지구에는 상업용지와 준주거용지 등 1백24필지가 장기 미매각 상태로 남아 있었으나 대선 직후인 지난 연말에 모두 주인을 찾았다.최초 공급이 이뤄진 지 7∼8년 만에 물량이 소진된 셈이다.

노은1지구의 경우 장기 미매각 용지 54필지 중 절반 가량인 26필지가 서울 등 수도권 투자자들에게 매각됐다.둔산지구도 장기 미매각 용지 70필지 가운데 28%인 20필지가 수도권 거주자에게 팔렸다.

상업용지 평당 공급가격의 경우 둔산지구가 4백만∼7백만원,노은1지구가 4백만∼5백만원선에 그쳤으나 지금은 8백만원∼1천만원에 달해 필지별로 한 두 달 새 웃돈이 2억∼3억원 정도 붙었다.

대전 공인중개사회 관계자는 “이 지역 택지개발지구의 경우 전체 면적에서 차지하는 상업용지의 비율이 1∼3%에 그쳐 희소성 때문에 땅값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있다”고 말했다.

노은1지구 인근 중개업소 관계자는 “소액 투자자들이 아파트분양권 등에 관심을 가지는 것과는 달리 투자자금 규모가 5억원 이상인 경우엔 상업용지와 같은 덩치가 큰 땅으로 수요가 몰리고 있다”며 “상당수 이들 자금은 수도권 등지에서 흘러든 것으로 파악된다”고 전했다.

일반 토지에도 외지인들이 사재기에 나서면서 값이 덩달아 뛰고 있다.대전 노은2택지개발지구 주변 자연녹지 값은 대선 전 만해도 평당 30만∼50만원에 그쳤으나 요즘은 70만∼80만원으로 올랐다.

이곳의 S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는 “외지인들이 땅을 사기 위해 돌아다니면서 땅주인들이 기대 심리로 매물을 회수하거나 호가를 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행정수도 이전 후보지 중 한 곳으로 꼽히는 청원군 오창면 일대에도 대선 이후 땅값이 10% 이상 올랐다.건국부동산컨설팅 유성원 실장은 “정부가 17일께부터 f충청권 땅 15억평에 대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어 시장이 위축될 수 있으므로 실수요 위주로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인스랜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