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 질적보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우리들 생활주변에는 형형색색의 식품이 있다. 그중에는 일부 제조업자들이 값이 비싼 순수한 원료나 첨가물을 사용하지않고 값이싸고 질이 낮은 원료나 독성이 강한 첨가물을 사용해서 자주 말썽을 일으키고있다.
이런 불량식품은 독성을 지니고있어 인체에 해로운것은 물론 귀중한 생명을 앗아가기도 한다. 그럴때마다 당국자들은 식품의 질적 보장책을 운위하기도하고 개선책을 마련한다든가하며 허둥대지만 그것도 그때뿐인것같다. 한심한 일이다.
식품의 질적보장을 하려면 우선 과학적인 뒷밤침이 앞서야 할 것이다. 그러나 유일한 국가검정기관인 국립보건연구원의 식품분석 능력은 하루에 2건정도다.
능률적으로 하려해도 손이모자라고 돈이 모자라 명맥이나 유지하는수밖에 없다는것이 관계자들의 솔직한 고백이다.
또 식품위생행정이 다원화되어있어도 이를 개선하지 못하고있다.
농·축산물을 윌료로 제조하는 식품은 농림부가, 수산물을 원료로 재조되는 식품은 수산청에서, 주류는 국세청이 각각 허가권을 쥐고있다. 허가는 그들이 하되 제조판매되는 식품의 관리는, 주무기관인 보사부에서 하라는것이다.
그러나 허가권을 쥐고있지않은 이상 보사부는 부정식품을 적발하는데 그치고만다.
해당업채에대한 행정처분을 요청하면 그들은 변명이나 업자편에서 비호하 것이 고작이다.이런 상태에서는 식품의 질적보장이란 한낱 구호에 불과할 것같다.
진정 국민보건을 위하고 이 나라 백년 대계를 위한다면 하루빨리 발전적인 계기를 마련하는데 인색하지 말아야 할것같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