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서해 불법조업 책임 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9면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 왕자루이(王家瑞) 부장(장관급)은 “(한·중 간) 서해 불법 조업 문제는 중국 측 책임이 크다”고 밝혔다. 중국 측 고위 당국자가 서해 불법 조업의 책임을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유기준 최고의원(새누리당)을 단장으로 하는 여야 의원 10명으로 구성된 방문단은 21일 특파원 간담회 자리에서 왕 부장으로부터 이 같은 입장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왕 부장은 이어 "서해 불법 조업 문제는 중국 정부도 법적인 보완을 포함해 여러 가지를 고려하고 있고 앞으로 한·중 간 서로 협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산당의 대외 관계를 총괄하는 최고위 당국자가 중국 어선의 서해 불법 조업으로 인한 양국 갈등의 책임이 자국에 있다고 인정한 것은 향후 배타적경제수역(EEZ)을 포함한 한국 영해에서 중국 어선의 동시다발적인 불법 조업을 규제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돼 주목된다.

 특히 한국 해경의 검문에 폭력으로 저항하며 도주하는 중국 어선들의 관행적인 폭력 행위를 중국 당국이 적극적으로 나서 제어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한편 북한이 서해상에서 나포했던 중국 어선 랴오푸위(遼普漁) 25222호 선박과 선원 16명을 21일 새벽 모두 풀어줬다. 당초 요구했던 몸값 60만 위안(약 1억원)도 받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관영 런민왕(人民網)에 따르면 선주인 위쉐쥔(于學君)은 “21일 새벽 3시50분 선박과 선원이 모두 풀려났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몸값은 한 푼도 주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 선박은 지난 5일 북한 서해안에서 70㎞ 떨어진 해역에서 조업하다 북한 경비정에 나포됐으며 북한 측은 이후 선주에게 수차례 전화를 걸어 선원들의 몸값을 요구했었다. 나포 지점이 북한 해역인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베이징=최형규·정용환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