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관리 시크릿] 사업 관련 대출은 갚는 게 능사 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7면

이승훈
삼성생명 FP

중소기업이든, 중소기업 소리를 들을 만한 자영업이든 대부분의 창업은 대출을 받아 시작하게 된다. 그런데 외환위기와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사업가들 사이에 대출에 대한 거부감과 ‘빨리 갚아야겠다’는 강박관념이 퍼져 있는 것 같다. 매년 지출되는 원금과 이자 상환 부담 때문에 이른 시일 내에 갚아버리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하는 게 보통이다. 그러나 사업 관련 비용이라면 부채를 서둘러 청산하는 게 반드시 좋다고 할 수는 없다. 목적 없이 무분별하게 부채를 안고 가는 것이 좋은 방안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사업 관련 부채에 대한 이자는 비용처리가 가능해 세후 순소득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업과 관련해 금융기관에서 3억원을 연 이자율 6%에 대출받은 A씨의 경우를 보자. A씨는 매년 1800만원을 이자로 내야 한다. 그러나 이자의 상당 부분은 A씨의 소득공제로 되돌아온다. 최저 119만원에서 최대 752만원을 돌려받는다.

 이런 소득공제까지 감안했을 때 실질 대출이자는 세율 구간에 따라 1048~1681만원으로 줄어든다. 다시 말해 실질 이자율이 3.5~5.6%가 되는 것이다.

 물론 이것조차 ‘빚이 없어 이자 비용 지출이 아예 없는 게 낫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꼭 그렇지만은 않다. 금융회사에서 적절히 돈을 빌린 뒤 잘 갚아나갈 때 신용등급이 오른다는 것, 또 나중에 국세청 세무조사 때 사업자금 출처를 대기 쉽다는 것 등을 고려하면 오히려 이익일 수 있다. 또 사업가들의 사업 투자 수익률이 통상 6%를 넘는다는 점까지 감안하면 빚을 안고 사업 규모를 조금 더 키우는 방안을 마냥 외면할 수만은 없을 것이다. 한 가지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려 사업에 쓸 때, 경우에 따라 이자를 비용으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니 반드시 사전에 따져봐야 한다.

이승훈 삼성생명 FP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