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취재일기

사회적 입원 줄이려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신성식
사회부문 선임기자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치매·중풍 가족에게는 복음과 같다. 가족의 수발 고통을 사회가 분담하게 돼서다. 처음에는 3단계 순차 시행으로 잡았다가 2008, 2010년 두 단계로 축소했다가 2008년 일괄시행으로 바뀌었다. 준비에 비상이 걸렸다. 시설 부족을 우려해 러브호텔의 요양시설 전환까지 허용했다. 또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요양원)의 칸막이를 제대로 치지 않았다. 요양원에 있으면 장기요양보험이 수발비를 커버했지만 요양병원은 환자가 부담했다. 당시 담당 국장이 “요양병원 환자가 항의할 텐데”라고 걱정하던 게 눈에 선하다.

 5년 새 요양병원이 462개 늘었다. 감사원이 최근 “요양병원에 누워 있는 ‘사회적 입원’ 환자가 3만1075명”이라고 지적했다. ‘사회적 입원’이라는 세상 어디에도 없는 신조어가 등장했다. 의료적 처치가 거의 없어 병원이 집과 거의 다름없다는 게 감사원의 진단이다. 기초수급자나 차상위계층에게 이런 경향이 더 강하다. 돌아갈 집이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외출해서 술을 마시는 사람도 있다. 병원이 경고하면 나쁜 소문을 퍼뜨리는 사람도 있다. 병상이 빈 일부 요양병원에는 사회적 입원 환자가 좋은 손님이다. 환자-가족-병원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다.

 노인이나 저소득층 환자에게는 의료와 복지 욕구가 섞여 있다. 사회적 입원 환자에게는 복지 욕구가 더 강하다. 이들이 요양병원을 벗어나면 케어할 시스템이 없다. 병원을 나갔다가 악화돼 되돌아오기 일쑤다. 기초수급자가 반 강제로 나갔다가 자녀 집에서 얼마 못 버티고 돌아온다. 요양병원이 복지시설이나 다름없다. 3만 명에게 불필요하게 건보재정(2083억원)이 들어간다지만 넓게 보면 복지비용일 수도 있다. 돈이 효율적으로 쓰이지 못하는 점이 문제다. 이런 문제가 왜 생겼는지 주무 부처인 보건복지부를 보면 알 수 있다. 요양병원은 보건의료정책실, 요양원은 인구정책실 담당이다. 여기에도 칸막이가 있다. 독일은 2007년 1~2세 어린이집 이용 정책(올해 시행)을 확정할 때 시행 시기를 6년 뒤로 잡았다. 사회적 입원은 속전속결 정책이 낳은 기형아다.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사회적 입원이 늘어날 게 뻔하다. 기초생보제 수당에서 주거비를 정교하게 분리해 지급하면 저소득층 사회적 입원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된다. 이와 함께 요양병원의 기능을 분명히 해야 한다. 큰 병원에서 수술이나 치료를 받은 중환자가 회복하는 공간으로 요양병원이 적격이다. 그 이후 상태에 따라 요양원이나 집으로 가면 된다. 가정방문 재활·간호를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또 불필요하게 장기입원을 일삼는 병원을 퇴출시키되 요양병원·요양원 동거모델도 시도해봄 직하다.

신성식 사회부문 선임기자